“2인 이상 설사·구토하면 신고”…늘어나는 식중독, 예방법은?

23 hours ago 4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기온이 점차 오르면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집단감염 가능성이 커지는 5월을 맞아 ‘7대 감염병 예방 수칙’을 발표하고 철저한 준수를 당부했다.

5월부터 10월 초순까지는 기온이 상승하여 병원성 미생물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콜레라, 장티푸스, 장관감염증 등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가정의달인 5월을 맞아 단체모임과 국내·외 여행이 늘어남에 따라 집단발생이 많아질 수 있다.

실제로 지난해 집단발생 건수는 총 529건으로 지난 5년(2019~2023년) 평균(479건)에 대비해 10.4% 증가했고, 사례 수 역시 지난 5년 평균인 7801명과 비교했을 때 55.0% 증가한 1만 2094명이었다.

특히 5~9월에는 세균성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의 발생이 증가했는데 그 가운데 살모넬라균이 42.2%, 병원성대장균이 17%를 차지했다.

이에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집단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2인 이상 설사, 구토 등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해달라”고 강조했다.

또한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끓이기 ▲익히기 ▲손 씻기 등 기본적인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관리청 제공.

질병청이 권고한 여름철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7대 예방 수칙은 다음과 같다.▲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생활화(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기
▲ 물은 끓여 마시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씻거나 껍질 벗겨 먹기
▲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 음식 조리 및 준비하지 않기
▲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생선·고기·채소 도마 분리 사용(칼, 도마는 조리 후 소독)한편, 질병관리청은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조기 인지해 감염병 대응이 지체되지 않도록 전국 시도 및 시군구 보건소와 함께 집단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역학조사 등 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24시간 업무 체계를 유지할 예정이다.

지방자치단체는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 주말·공휴일은 오후 4시까지 비상근무를 실시하고 그 외 시간에는 비상 연락 체계를 유지한다. 질병관리청은 24시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조유경 기자 polaris2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