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경상수지 ‘역대 최대’ 142.7억달러…반도체·의약품 수출 ‘껑충’

3 hours ago 2

수출 전년 대비 2.3% 증가…반도체 11.3%·의약품 51.8% 늘어
배당지급 줄자 본원소득수지 흑자 21.5억→41.6억 달러 급증

부산항에 쌓인 컨테이너 (자료사진) /뉴스1 ⓒ News1

부산항에 쌓인 컨테이너 (자료사진) /뉴스1 ⓒ News1
지난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반도체와 의약품 등 수출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규모인 143억 달러 상당의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상품수지 흑자가 8년여 만에 가장 커져, 역대 3위 규모로 나타났다.

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는 142억 7000만 달러 흑자로 한 달 전(101.4억 달러)보다 41억 3000만 달러 급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경상수지 흑자에 해당한다.

2000년 이후 세 번째로 긴 흑자 흐름인 26개월 연속 흑자 기록도 경신했다.

6월 상품수지는 131억 6000만 달러로, 전월(106.6억 달러)보다 25억 달러 증가했다.

상품수지 흑자가 2016년 3월(133.2억 달러), 2017년 9월(145.2억 달러)에 이어 역대 3위 규모에 올랐다. 이로써 7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흑자 규모로 나타났다.수출이 603억 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하면서 전월(-2.9%)의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컴퓨터 주변기기 등 정보통신기술(IT) 품목의 수출 호조가 지속된 가운데 IT 외 품목도 의약품 등을 중심으로 늘면서 1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한은 제공)

(한은 제공)

구체적으로 6월 통관수출은 IT 품목이 1년 전보다 4.7% 뛰면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특히 컴퓨터 주변기기(13.6%), 반도체(11.3%) 수출 증가세가 가팔랐다. 반면 무선통신기기(-37.4%) 수출은 부진했다.

IT 외 품목 수출도 4.1% 큰 폭으로 늘어났다. 다만 의약품(51.8%)을 제외한 승용차(-0.3%), 석유제품(-0.9%), 철강제품(-2.8%) 등은 미국 관세 여파와 유가 변동 등에 감소세를 보였다.

수입은 472억 1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0.7% 증가했다. 수입이 증가한 것은 3개월 만의 일이다.

이 관계자는 “자본재, 소비재 수입 증가세가 확대되고 원자재 감소 폭이 축소되면서 수입이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마감 시황이 나오고 있다. (자료사진) /뉴스1 ⓒ News1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마감 시황이 나오고 있다. (자료사진) /뉴스1 ⓒ News1

6월 서비스수지는 주로 여행수지 적자 확대로 인해 25억 3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전월(-22.8억 달러)보다 적자 규모가 2억 5000만 달러가량 확대됐다.

여행수지 적자 폭은 10억 1000만 달러로 한 달 새 6000만 달러 늘어났다. 이는 5월 중국 노동절 등 연휴 효과가 소멸하면서 입국자 수가 전월보다 감소한 영향이 컸다.

반면 본원소득수지는 41억 6000만 달러로 흑자 규모가 한 달 전(21.5억 달러)보다 20억 1000만 달러 급증했다.

이는 6월 배당소득수지 흑자가 34억 4000만 달러로 전월(15.9억 달러)보다 2배 이상 확대됐기 때문이었다. 지난 5월에는 기업들의 배당 지급이 연이은 반면 이번에는 지급이 줄고 수입까지 늘어난 결과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