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보다 강력한 것 온다”…교통비 최대 14만원 아끼는 카드 꿀팁

22 hours ago 3

경제

“K패스 보다 강력한 것 온다”…교통비 최대 14만원 아끼는 카드 꿀팁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통비 절감을 위한 정액권 형태의 무제한 패스가 2026년부터 도입될 전망이다.

이 정액패스는 월 5만5000원에서 6만2000원의 요금으로 최대 20만원까지 대중교통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월 최대 14만5000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국토부는 내년 초 관련 예산 확정 이후 요금제를 발표할 예정이며, K패스의 성공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400만 가입’ K패스, ‘정액제’ 개편
월 교통비 8만원, 장거리 통근 유리
국토부, 내년 초 요금제 확정 예상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민들의 필수 고정지출 중 하나인 교통비를 매달 최대 14만원까지 아끼게 될 수 있을 전망이다.

1일 국토교통부 및 카드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6년부터 대중교통 고빈도 이용자의 교통비 부담을 덜기 위해 정액권 형태의 무제한 패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정액패스(가칭)는 월 5만5000원(청년·고령층·저소득층·다자녀 가구)∼6만2000원(일반)을 내면 최대 2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광역버스를 포함할 경우 일반은 10만원, 청년·고령층·저소득층· 다자녀 가구는 9만원에 이용하게 하는 방식도 고려 중이다.

해당 안이 최종 채택될 시 단순 계산상으로 월 5만5000원짜리 정액권을 구매하고 한 달 동안 20만원어치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최대 14만5000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내년 초 국회에서 관련 예산이 확정된 후 요금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 정부는 2030년까지 정액패스 사용 시 환급률을 10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이는 기존의 ‘K패스’가 국민들의 큰 호응을 끄자, 정액제 방식으로 개편한 것이다. K패스는 지난해 5월 출시 후 1년 5개월 만에 가입자 400만명을 돌파하며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필수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단 평을 받는다.

K패스 [연합뉴스]

K패스 [연합뉴스]

K패스는 정부의 교통비 절감정책 카드로, 전국의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광역급행철도(GTX) 등을 월 15회 이상 이용한다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20~53%)로 환급해준다. 이용 가능 횟수는 60회로 제한된다. 일반(20%), 청년(30%), 저소득(53.3%), 다자녀 가구 유형(2자녀 30%·3자녀 이상 50%) 등으로 대상을 구분해 환급률을 적용한다.

정액패스는 월 교통비 8만원 이상 혹은 GTX·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장거리 통근자에게, K패스는 월 대중교통 이용횟수 월 15~60회 이하, 교통비 5만원 이하인 사람에게 더 적합하단 계산이 나온다.

정액패스는 휴대폰 무제한 요금제처럼 많이 쓸수록 이득이고, K패스는 적게 써도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두 패스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각각 선불·후불 방식에 있다. 정액패스는 정액 요금제로 선불형, K패스는 후불형으로 실제 이용 금액 기준 환급제다. 할인 체감은 즉시 확인이 가능한 선불형 정액패스가 마일리지형으로 다음달 환급되는 K패스보다 클 수 있다.

김용석 대광위 위원장은 “K-패스는 사업 시행 1년 반 만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민생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며 “대한민국 대표 대중교통 카드로 내년에 보다 혜택을 대폭 확대하고 이용자의 생생한 의견을 경청할 기회를 마련해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신한지주

    055550, KOSPI

    73,300 0.00%
  • 삼성카드

    029780, KOSPI

    49,550 - 0.20%
  • KB금융

    105560, KOSPI

    116,600 + 0.69%
  • 우리금융지주

    316140, KOSPI

    25,400 - 0.39%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