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만 가입’ K패스, ‘정액제’ 개편
월 교통비 8만원, 장거리 통근 유리
국토부, 내년 초 요금제 확정 예상
서민들의 필수 고정지출 중 하나인 교통비를 매달 최대 14만원까지 아끼게 될 수 있을 전망이다.
1일 국토교통부 및 카드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6년부터 대중교통 고빈도 이용자의 교통비 부담을 덜기 위해 정액권 형태의 무제한 패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정액패스(가칭)는 월 5만5000원(청년·고령층·저소득층·다자녀 가구)∼6만2000원(일반)을 내면 최대 20만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와 광역버스를 포함할 경우 일반은 10만원, 청년·고령층·저소득층· 다자녀 가구는 9만원에 이용하게 하는 방식도 고려 중이다.
해당 안이 최종 채택될 시 단순 계산상으로 월 5만5000원짜리 정액권을 구매하고 한 달 동안 20만원어치 대중교통을 이용했다면 최대 14만5000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내년 초 국회에서 관련 예산이 확정된 후 요금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 정부는 2030년까지 정액패스 사용 시 환급률을 100%까지 끌어올리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이는 기존의 ‘K패스’가 국민들의 큰 호응을 끄자, 정액제 방식으로 개편한 것이다. K패스는 지난해 5월 출시 후 1년 5개월 만에 가입자 400만명을 돌파하며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필수 시스템으로 자리 잡았단 평을 받는다.
K패스는 정부의 교통비 절감정책 카드로, 전국의 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광역급행철도(GTX) 등을 월 15회 이상 이용한다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20~53%)로 환급해준다. 이용 가능 횟수는 60회로 제한된다. 일반(20%), 청년(30%), 저소득(53.3%), 다자녀 가구 유형(2자녀 30%·3자녀 이상 50%) 등으로 대상을 구분해 환급률을 적용한다.
정액패스는 월 교통비 8만원 이상 혹은 GTX·광역버스를 이용하는 장거리 통근자에게, K패스는 월 대중교통 이용횟수 월 15~60회 이하, 교통비 5만원 이하인 사람에게 더 적합하단 계산이 나온다.
정액패스는 휴대폰 무제한 요금제처럼 많이 쓸수록 이득이고, K패스는 적게 써도 일정 비율을 돌려받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두 패스권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각각 선불·후불 방식에 있다. 정액패스는 정액 요금제로 선불형, K패스는 후불형으로 실제 이용 금액 기준 환급제다. 할인 체감은 즉시 확인이 가능한 선불형 정액패스가 마일리지형으로 다음달 환급되는 K패스보다 클 수 있다.
김용석 대광위 위원장은 “K-패스는 사업 시행 1년 반 만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민생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며 “대한민국 대표 대중교통 카드로 내년에 보다 혜택을 대폭 확대하고 이용자의 생생한 의견을 경청할 기회를 마련해 현장의 목소리를 제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노키아 투자, 깐부치킨 회동…젠슨 황의 큰 그림은 [빈난새의 빈틈없이월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227096.1.jpg)



![한미 관세협상 타결…경기회복에 물가오를까[기재부 주간예보]](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11/PS25110200203.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