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동아닷컴]
팀 내 타율 4위, OPS 5위. 하지만 이정후(27)에게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몰락의 책임이 없는 것이 결코 아니다.
샌프란시스코는 31일(이하 한국시각) 불펜 핵심 자원 중 하나인 타일러 로저스를 뉴욕 메츠로 트레이드하면서 사실상 2025시즌 포스트시즌 진출을 포기했다.
이정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한때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선두로까지 나섰으나, 계속되는 투타 불균형 속에 이날까지 54승 55패 승률 0.495를 기록한 것. 또 최근 6연패.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선두 LA 다저스와의 격차는 어느덧 9경기로 벌어졌고, 와일드카드 3위이자 지구 2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도 6경기 차이다.
이정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이러한 샌프란시스코의 침몰에는 지난해 6년-1억 1300만 달러 계약으로 큰 기대를 모은 이정후의 부진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정후는 지난해 초반 부상으로 시즌 아웃된 뒤, 이번 시즌 대반격을 노렸다. 실제로 이정후는 4월에 올스타급 성적을 내며 기대감을 높였다.
이정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하지만 이정후는 본격적으로 순위 경쟁이 시작되는 5월부터 성적이 급락했다. 5월과 6월의 월간 OPS는 각각 0.612와 0.551로 후보 선수급 성적.
이후 이달에는 타율 0.278 출루율 0.341 OPS 0.733 등을 기록했으나, 이 역시 입단 당시의 기대치에는 미치지 못한다.
또 이 성적을 두고 반등에 성공했다는 반응이 나오는 것 자체가 이정후에 대한 기대치가 크게 하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정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고액 연봉 선수는 많은 돈을 받는 만큼 팀 성적에 큰 책임이 뒤따른다. 이정후는 분명 그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 팀 내 타율 순위 등은 변명거리가 되지 못한다.
조성운 동아닷컴 기자 madduxly@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