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 前 민정수석 소환
사후 선포문 말맞추기 추궁
尹체포 방해 김성훈도 조사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 소환을 앞두고 김주현 전 대통령실 민정수석을 소환해 조사했다. 윤 전 대통령의 국무회의 관련 직권남용 혐의와 국무위원의 계엄 선포 가담 여부 등을 수사 중인 내란특검이 비상계엄 전후 윤 전 대통령의 행적을 재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내란특검은 3일 김 전 수석을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고검 청사로 불러 조사했다. 김 전 수석은 '계엄과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적이 있나' '국무회의와 관련해 조사받으러 온 것이냐' 등 취재진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내란특검은 5일 윤 전 대통령 2차 소환 조사를 앞두고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과 대통령실·경호처 관계자들을 잇달아 소환하고 있다. 내란특검은 김 전 수석을 상대로 비상계엄 선포와 해제 과정 전반,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과 폐기 경위, 대통령 안전가옥(안가) 회동 등에 관한 의혹을 집중 추궁했을 것으로 보인다. 내란특검은 한 전 총리와 국무위원들이 계엄 선포를 방조하거나 이에 가담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비상계엄 당시 국무위원 전원을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계엄 해제 당일인 지난해 12월 4일 이뤄진 '안가 회동'도 특검 수사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당시 모임에는 김 전 수석을 비롯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이 참석했다. 일각에서는 이들이 계엄 수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모였다는 해석도 나온다. 김 전 수석은 안가 회동 이후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에게 "비상계엄 관련 문서가 있느냐"고 문의했다고 한다. 이후 강 전 실장이 새 계엄 선포문을 작성해 한 전 총리의 서명을 받았다가 한 전 총리의 요청으로 문건이 폐기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안가 회동이 이에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내란특검은 이날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도 소환했다. 내란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혐의 등을 수사하고 있다.
한편 채 상병 사망 사건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특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에 나섰다.
[강민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