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일 이후, 각국에 인상된 상호관세율 적용할 것"

6 hours ago 2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진행된 미국 독립 250주년 축하 킥오프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진행된 미국 독립 250주년 축하 킥오프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오는 8일로 다가온 가운데, 미국의 무역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8일 이후까지 미국과 무역합의를 하지 못한 국가들에는 지난 4월 책정한 관세율이 본격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일 10개국씩 관세율을 통보할 것”이라며 지난 4월 ‘해방의 날’ 당시 언급한 관세보다 더 높은 70%의 세율을 부과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베선트 장관은 3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협상 중이고, 모든 나라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리고 있다”며 “그들은 최선의 합의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나라들은 조심해야 한다. 4월 2일에 설정된 수치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경고했다. 오는 8일까지 미국과 무역합의를 하지 못한 국가들에는 유예 없이 미리 정해둔 고율의 상호관세가 즉각 적용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미국의 무역상대국 약 200개국 중 절반에 가까운 국가들에 대해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기본관세율 10%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는 “유예기간 종료 전까지 여러 나라들과의 무역 합의를 발표하길 기대한다”며 약 100개국이 미국의 최저 상호관세율인 10%를 적용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10%는 미국이 지난 4월 발표한 국가별 상호관세의 세율 중 최저치로, 현재 모든 무역상대국에 적용하고 있는 기본관세율과 동일하다. 이들 100개 국가에는 세율 변동이 없을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미국의 무역상대국들은 곧 통지서를 받아들일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국가에 먼저 관세율 통보 서한을 보낼지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4일은 10~12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앞서 서한을 “하루에 10개국씩 여러 나라에 보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까지 발송 작업이 완료될 것”이라며 관세가 부과되는 시점은 8월 1일이라고 덧붙였다.

관세를 지난 4월 설정한 수준보다 더 올릴 가능성도 열어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이 “아마도 60%나 70% 관세부터 10%나 20% 관세 범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 수치가 확정된다면 최고 상호관세율의 경우 지난 4월 발표된 상호관세율보다 높은 수준이 된다. 당시 최대 상호 관세율은 50%였다.

협상을 늦게 시작한 한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한국에는 25%의 상호관세가 유예된 상황으로 현재 10%의 기본관세율이 부과되고 있다. 만약 미국과의 무역합의에 이르지 못하거나, 미국으로부터 관세 부과 시점에 대한 유예를 이끌어내지 못하면 상호관세율이 현재 수준보다 15% 더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산업부는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4일 밤 미국 워싱턴 DC로 향한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5~6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고위 당국자들과 면담을 진행해 한미 관세 협상에 관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