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 比대통령 만나 강조
中 남중국해 등 영향력 견제
분쟁지 美·中 충돌시 참전요구
마르코스 "인태서도 동맹 역할"
한국에도 같은 논리 적용 촉각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21일(현지시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동맹국인 미국·필리핀 간 상호 방위조약이 남중국해를 포함한 태평양 어디에서든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인근 국방부 청사에서 마르코스 대통령과 면담하면서 "풍부한 역사를 가진 우리 동맹은 지금처럼 강력하거나 핵심적이었던 때가 없었다"며 "우리는 상호 방위조약에 여전히 헌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이어 "이 조약은 남중국해 등 태평양 어디에서든 우리의 군대와 항공기 또는 공공선박(해상경비대 소속 포함)에 대한 무력 공격에 적용된다"고 강조했다.
헤그세스 장관의 발언은 중국을 견제·억제하고자 양국 간 안보 공조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양국 동맹의 적용 범위가 필리핀 영토와 주변 수역뿐 아니라 태평양 전체를 아우를 수 있다는 뉘앙스로 언급한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남중국해에서 필리핀이 중국의 공격을 받으면 미국이 필리핀을 지원하고, 동중국해에서 미국이 중국의 공격을 받으면 필리핀이 미국을 지원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필리핀 동맹에 적용한 이 같은 논리를 한미동맹에 반영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헤그세스 장관의 이날 발언은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동맹의 공조 영역 역시 한반도와 주변뿐 아니라 미·중 간 출동이 발생할 수 있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로 확장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주한미군의 역할이 대북 억제 등 한반도에 국한되지 않는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는 상황이다.
헤그세스 장관은 또 "미국은 힘을 통해 평화를 달성하는 데 전념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이러한 열망을 공유하는 모든 국가와 협력할 의향이 있다"면서 "우리는 무력충돌을 추구하지 않지만 지금은 물론 앞으로도 준비돼 있을 것이고, 이는 단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나는 우리 동맹, 미국과 필리핀은 남중국해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믿는다"며 "하지만 나는 인도·태평양 지역 전체에 대해서도 (양국 동맹이 안정을 위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항상 그 관계를 계속 강화할 수 있어서 매우 기쁘다"고 덧붙였다.
이날 마르코스 대통령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도 만났다. 두 사람은 인도·태평양의 평화와 안정 유지에 양국 간 철통같은 동맹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2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한다.
[워싱턴 최승진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