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인상 안한다더니…아마존, 생필품 1200개 가격 올렸다

8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마존이 제품가 동결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2,500개의 저가 생필품 중 1,200개 품목의 가격이 평균 5.2%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사 월마트가 같은 기간 동안 평균 2% 가격을 인하한 것과 대조적이며, 가격 인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아마존 측은 조사된 가격군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주장하며 평균 가격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아마존 로고. [AP=연합뉴스]

아마존 로고. [AP=연합뉴스]

제품가 동결을 공언한 아마존이 실제로는 저가 생필품 위주로 가격을 슬그머니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전자상거래 데이터 업체 ‘트라젝트 데이터’ 자료를 인용해 아마존이 판매하는 약 2500개 저가 생필품 중 탈취제, 단백질 쉐이크, 반려동물 용품 등 1200개 가량 품목의 가격이 지난 1월 20일 대비 올해 7월 1일 기준 5.2%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경쟁사인 월마트가 같은 기간 동일한 품목의 가격을 평균 2% 인하한 것과는 대비된다.

아마존의 제품가 인상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여파에 대비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WSJ에 따르면 아마존은 지난 2월 15일 자사 저가 상품들의 가격을 큰 폭으로 인상했다. 앞서 같은달 13일 트럼프 대통령이 대부분의 미국 무역 상대국에 관세 적용을 시사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발 빠르게 움직인 것이다.

온라인 중심인 아마존의 사업 모델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전체 아마존 공급업체 컨설턴트인 코리 토머스는 “배송비 때문에 마진이 거의 남지 않는 저가 상품군에서 아마존은 수익을 내기 어려운 구조”라고 설명했다. 반면 그는 월마트에 대해선 “오프라인 매장에서 고가 상품이 함께 팔리기 때문에 온라인 입는 손해를 보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마존에서 판매되는 상품 가운데 3분의 1이 저가 제품군인만큼, 수익성 보전을 위해 사측이 가격 인상을 택했을 것이란 해석이 가능하다.

아마존 측은 WSJ가 조사한 제품군 가격의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사측은 WSJ에 “제품 평균 가격은 큰 폭의 상승이나 하락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