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 공직자도 이 동네 집은 안 팔죠"…줄줄이 '신고가'

15 hours ago 3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최혁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최혁 기자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자 이후 실거래의 82%가 강남권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일부터 26일까지 서울에서 신고된 아파트 매매는 지난 31일 기준 138건을 기록했다. 서울 전역은 지난 20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는데, 지정 직전 일주일 거래량 3029건 대비 거래량이 95.5% 감소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서울 전역으로 확대되기 이전까진 25개 자치구에서 고루 거래가 체결됐지만, 20일 이후 신고된 거래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로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 기간 거래량을 자치구별로 살펴보면 송파구가 60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남구가 30건으로 뒤를 이었다. 서초구와 용산구까지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이었던 곳에서 발생한 거래는 총 114건으로 이 기간 전체 거래량의 82.6%를 차지했다.

개별 거래 내역을 살펴보면 송파구 가락동 '래미안파크팰리스' 전용면적 114㎡가 23억9000만원(17층)으로 이전 최고가 대비 1억9000만원 높은 가격에 매매됐고 잠실동 '트리지움' 전용 59㎡는 29억6000만원(9층)에 신고가를 경신했다. 리센츠 전용 84㎡ 역시 35억원(16층)으로 최고가에 팔렸다. 거여동 '거여5단지' 전용 84㎡도 11억9250만원(12층)에, 문정동 '문정래미안' 전용 133㎡도 18억6500만원(5층)에 신고가를 썼다.

서울 송파구 트리지움아파트 전경. 사진=최혁 기자

서울 송파구 트리지움아파트 전경. 사진=최혁 기자

잠실동의 A 공인중개 관계자는 "거래량이 적기는 해도 문의는 꾸준히 들어오는 편"이라며 "서울 부동산 시장이 침체했다고 하지만, 송파구 집값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기에 고위 공직자들이나 타지역 구청장도 다주택 지적이 나오더라도 이 동네 집은 팔지 않고 버티는 것 아니겠느냐"고 웃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는 임광현 국세청장이 실거주하지 않는 송파구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는 국정감사에서 관련 지적에 "은퇴 후 거주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류경기 중랑구청장도 송파구에 아파트를 보유하며 중랑구에는 전세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남 3구와 용산구는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다. 당초 지정 기간은 지난 9월까지였지만,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기간을 1년 3개월 연장하면서 내년 12월 31일까지 규제가 유지된다. 이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던 만큼 서울 전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의 영향 또한 제한적인 것이다.

경매 시장에서도 강남권의 위상이 재차 높아지고 있다. 경·공매 전문 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30일까지 강남 3구에서 진행된 아파트 경매 물건 12건이 모두 낙찰됐다. 경매는 일반 매매에 비해 자금출처 증빙에 대한 부담이 적고,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실거주 의무도 적용되지 않기에 현금 부자들의 수요가 몰린 결과다.

서울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 한 부동산에 급매 안내문이 여럿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노원구 수락산역 인근 한 부동산에 급매 안내문이 여럿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수십명의 응찰자가 몰리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경매가 과열되는 모습도 엿보인다. 지난 20일 서울동부지방법원에서 열린 송파구 '포레나송파' 전용 67㎡ 경매에는 59명이 응찰했는데, 최종 낙찰가는 감정가보다 약 5억원 높은 14억1880만원에 달했다.

반대로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이라는 3중 규제를 맞은 서울 외곽 지역에서는 거래 절벽을 마주하고 있다.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이던 곳을 제외하고 지난 20일 신규 지정된 이후 거래가 1건이라도 있었던 자치구는 동대문구, 성북구, 구로구, 중구 등 4곳에 그친다. 그나마도 대부분은 대지 지분이 적어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초소형 면적이었다.

거래가 끊긴 서울 외곽 지역에서는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집값이 오르지도 않았는데 강남과 같은 규제를 적용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취지다. 노원구 상계동 B 공인중개 관계자는 "이 지역 실거래가를 찾아보면 최근 거래 가격이 올해 초보다 낮은 경우도 적지 않다"며 "똑같은 규제를 받는 상황이라면 집값이 제자리걸음 하는 노원과 상승을 거듭하는 강남 중 어디로 수요가 쏠릴지는 뻔한 이야기"라고 하소연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