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유력 주자인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의 정책 그룹이 당 안팎에서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이 후보로선 안정적인 수권 능력을 과시할 수 있지만 정리되지 않은 정책이 곳곳에서 튀어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이 후보를 돕는 전문가 조직인 ‘성장과 통합’이 출범했다. 성장과 통합은 유종일 전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과 허민 전 전남대 부총장이 상임공동대표를 맡았으며 각계 전문가 500여 명이 참여했다. 성장과 통합은 ‘1인 2주택(수도권-지방)’ 면세 정책과 ‘인공지능(AI) 정부’ 구상을 내놨다.
이 후보를 지원하는 정책 그룹은 당내에도 포진해 있다. 당내 상설기구인 민생경제연석회의는 이 후보가 직접 공동의장을 맡았다. 지난달 12일 이 후보가 참석해 민생 의제 20개와 정책과제 60개를 발표했다. 지역사랑상품권 확대부터 가산금리 인하, 주 4일제 근무까지 분배 위주 정책을 제시했다.
성장 관련 정책을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당내 정책 그룹으로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가 있다.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이 위원장을 맡은 미래경제성장위는 지난 9일 조직을 확대 개편하면서 50조원 규모의 국민참여형 펀드를 조성해 첨단 전략산업에 투자한다는 ‘국부펀드 정책’을 내놓기도 했다.
당의 공식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정책위원회는 최근 기획재정부를 예산 부문과 세제·금융 부문으로 쪼개는 정부 조직 개편 방향이나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대한 증액 심사를 다루고 있다.
정책 지원 조직 사이에서 자칫 ‘과잉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관 문턱’이 높아지는 점도 이 같은 우려를 더하고 있다. 현역 의원, 전직 관료 등 사이에서 요직을 둘러싼 경쟁이 심해지면서 정제되지 않은 정책이 쏟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광식/한재영 기자 bumer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