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상생 출연 압박과 조 단위 과징금 예고가 잇따르면서 4대 금융지주가 밝힌 올 하반기 3조8000억원 규모 주주환원 계획이 근간부터 흔들리고 있다. 막대한 지출로 인해 자사주 소각 등 주주들을 위한 재원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어서다. 금융권 밸류업을 강조하던 정부가 금융지주 건전성 관리에 과도한 부담을 지우면서 '정책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배드뱅크 출연금, 교육세 인상, 홍콩 주가연계증권(ELS)·주택담보대출비율(LTV) 담합 과징금 등 현재 금융지주가 추가 부담해야 할 지출은 최대 1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 같은 비용 증가를 반영할 경우 4대 금융지주가 주주환원 규모 결정의 근거로 삼는 CET1(위험가중자산 대비 보통주 자본비율)이 13.37%(상반기 기준)에서 12.77%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하반기 주주환원 예상 금액이 당초 3조8672억원에서 2조5200억원 줄어든 1조3472억원으로 추산된다. 금융지주 고위 관계자는 "금융지주 비용 부담이 늘다 보니 주주 환원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안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