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한 충청권을 겨냥한 공약을 대선 경선 후보들이 잇달아 쏟아내고 있다. 충청 지역 출신의 유력 후보가 없는 상황에서 후보마다 충청과의 인연을 강조하고 나섰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17일 ‘세종을 행정수도로, 대전을 과학수도로 만들겠다’는 내용의 충청권 공약을 내놨다. 이 후보는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고, 국회 본원 및 대통령 집무실 완전 이전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내에서 이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하면 집무실을 어디에 둘 것인지를 두고 여러 의견이 오가고 있다. 청와대를 다시 사용하다가 세종 집무실로 옮겨가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이 후보가 ‘사회적 합의’를 조건으로 건 데다 개헌 논의도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국회 및 대통령 집무실의 완전 이전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 후보는 부인 김혜경 여사의 고향이 충북 충주라는 점도 수시로 언급하고 있다.
김경수, 김동연 등 민주당의 다른 후보도 대통령실 세종 이전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민주당은 첫 순회 경선지로 충청을 선택하기도 했다. 1987년 13대 대선부터 2022년 20대 대선까지 모두 충청 지역 승자가 대권을 잡았다.
구여권 후보들도 일제히 충청권 공략에 나섰다. 한동훈 국민의힘 후보는 청주에서 4년간 초등학교를 다닌 점을 부각하며 “국회를 세종으로 완전히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나경원 후보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세종을 포함한 5대 메가시티 육성 등을 내걸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지난 3월 첫 방문지로 간 대전에서 “세종에 청와대, 용산, 국회를 한 공간으로 잇는 대통령 집무실을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홍준표 후보는 유보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홍 후보는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로 되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강현우 기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