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를 하향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 2.0%에서 1.2%포인트 내렸다. 미국발 관세전쟁과 건설투자 위축, 내수 부진 등이 성장률을 떨어뜨릴 것으로 분석했다.
![]() |
(자료=한국금융연구원) |
금융연구원은 7일 ‘2025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이같이 밝혔다. 금융연구원은 1분기 민간소비가 전년동기대비 0.5% 증가에 그치며 부진이 심화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 지연으로 소비심리가 장기간 위축될 것으로 관측했다. 고용도 둔화되며 가계소득 또한 연중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5.7% 감소하며 부진이 심화되고, 설비투자 증가율도 0.3%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전쟁 여파로 총수출과 총수입 모두 0.3% 수준의 증가율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고용률은 62.7%를 기록할 것으로 봤다. 고용시장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견조한 노동시장 전입으로 전년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실업률은 2.9%로 전년대비 소폭 상승하고, 취업자 수는 약 8만명 증가해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상반기 2.0%, 하반기 1.9%로 연중 2.0%를 예상했다. 원자재 가격 하락은 물가 하방압력을 작용하지만, 관세협상 불확실성 증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이 상방압력으로 작동할 것이란 설명이다. 경상수지는 880억달러 흑자를 예상했다.
금융연구원 측은 “미국 정책 결정 과정의 즉흥성과 비일관성도 기업 투자와 민간 소비를 위축시키는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관세로 인해 수입 물가 인상 압력이 현실화하면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으로 관측했다.
금융연구원은 적극적인 경기 대응 방안을 촉구하면서 중장기적인 경제구조 개선 노력 병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통화정책은 경기 하방압력을 고려해 완화적으로 운용하고 기준금리 조정 외 금융기관에 대한 신용공급 확대 등의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정책의 전환도 언급했다. 금융연구원 측은 “재정정책은 중장기적 차원의 재정건전성 유지라는 현실적 제약을 감안하되 급격한 경기 둔화 시에는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추가경정예산의 신속한 집행과 미래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연구개발 및 설비투자 지원 확대 등도 언급했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 격화에 대응한 기업 사업구조 개편과 혁신 촉진을 위해 규제 완화, 금융·세제 지원 및 산업 수요와 연계한 인재 양성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면서 “노동 공급 감소에 대응해 고령층 노동력 활용 확대를 위한 제도 개편, 자동화 기술 보급, 출산 인센티브 확대 등을 포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제개혁, 재정지출 구조조정 등 재정건전성 유지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