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의혹 수사]
尹사저 영장에 ‘청탁 의혹’ 포함… 통일교측 “잘 모르는 내용” 부인
“통일교 前간부와 건진법사… ‘金 물건 잘 받았다더라’ 대화”
● 통일교 측 YTN 인수 등 희망 영장 적시
1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단(단장 박건욱 부장검사)은 전날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에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사저를 압수수색하며 이러한 내용이 담긴 영장을 집행했다. 검찰은 윤 씨가 전 씨에게 건넨 샤넬 백과 영국 명품 브랜드 ‘그라프’사의 다이아몬드 목걸이, 인삼의 행방을 찾기 위해 압수수색을 벌였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 영장에 윤 전 대통령 집권 후 통일교 측이 YTN 인수를 원하고 있었다는 점을 적시했다. 윤석열 정부는 집권 첫해인 2022년 11월 YTN 매각을 공식화했다. YTN은 공공기관인 한전KDN과 한국마사회가 대주주로, 이들 기업은 YTN의 지분 30.95%를 보유하고 있었다. 당시 통일교 측도 인수전에 뛰어들었지만 결과적으로 YTN은 이듬해 10월 유진그룹이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이에 대해 통일교 측은 “잘 모르는 내용”이라고 밝혔다.아울러 검찰은 당시 통일교 측이 캄보디아에 있는 메콩강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었다는 내용도 영장에 기재했다. 훈 센 캄보디아 총리가 통일교 측이 주최하는 국제 행사에 수차례 참석하는 등 통일교는 당시 캄보디아와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통일교가 캄보디아 관련 사업을 원했던 정황인 셈이다.
앞서 서울남부지검은 압수수색을 통해 김 여사의 아이폰16 등 휴대전화 여러 대와 메모장 등을 확보했다. 압수수색 영장에 압수 대상이 일기장, 회계장부 등 100개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목걸이, 샤넬 백, 인삼은 확보하지 못했다고 한다. 김 여사의 휴대전화, 메모장 등에 청탁 관련 단서가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검찰은 김 여사의 휴대전화 여러 대와 메모장의 내용을 분석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 윤 씨-건진, ‘여사님이 물건 잘 받았다’ 대화 의혹 검찰은 선물들이 김 여사에게 실제 전달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윤 씨와 전 씨 사이에선 ‘김건희 여사 선물용’으로 건넨 물건 일부가 실제로 전달됐을 가능성을 담은 대화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김 여사가 물건을 잘 받았다더라’는 취지의 대화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김 여사 선물 목적으로 건넨 물건 중 일부가 김 여사에게 전달됐다는 것이다.
다만 검찰이 확보한 김 여사의 휴대전화들은 이달 11일 김 여사가 관저를 나오며 바꾼 새 휴대전화와 코바나컨텐츠 전시 공간에 음악을 트는 용도의 공기계라 의미 있는 증거를 확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 사저 외에도 김 여사의 옛 코바나컨텐츠 사무실, 김 여사 수행비서 2명의 자택도 압수수색했는데, 여기에서 관련 단서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전 씨는 샤넬 백과 ‘그라프’사의 다이아몬드 목걸이, 인삼 등 윤 씨에게 받은 물건들을 김 여사에게 전달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여사 측 역시 이 물품들을 받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검찰 안팎에선 김 여사 수사가 윤 전 대통령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통일교 내부에서는 윤 씨가 윤석열 정부의 캄보디아 원조 사업과 관련해 정부 지원을 요청하며 윤 전 대통령 부부와 접촉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전 씨가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윤 전 대통령의 비공식 대선 조직, 일명 ‘양재동 캠프’에 대해서도 수사기관의 수사가 개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채완 기자 chaewani@donga.com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
조승연 기자 cho@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