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교통의 대표 복지정책인 '농촌형 교통모델'이 지난해 마을 수와 이용자 수 모두 증가하며 긍정적 성과를 나타냈다. 주민 만족도도 전년 대비 상승하며 제도 확산에 탄력이 붙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81개 군을 대상으로 추진한 농촌형 교통모델의 모니터링 결과 지원 마을이 9206곳으로 1년 전보다 9.9% 늘었고 이용자 수는 698만명으로 2.9%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특히 종합 만족도는 8.7점으로 전년(8.3점) 대비 상승했다. 택시형 모델의 만족도가 8.8점으로 버스형(8.6점)보다 소폭 높았다. 이용자들은 '이용요금'과 '차량 청결도'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용 목적은 보건·의료시설 방문(택시형 87.4%, 버스형 81.3%)이 가장 많았고, 장터·마트 등 생활편의시설 이용(택시형 63.4%, 버스형 65.7%)이 뒤를 이었다. 관공서, 금융기관, 문화·여가시설 방문도 주요 이용 사유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남 창녕군이 '브라보 창녕읍 순환버스'를 통해 기존 단방향 노선에 양방향을 추가해 대기 시간을 20분 줄이고 정류장 접근성을 높이며 이용자 수를 1000 명가량 늘렸다. 충북 진천군의 '행복택시'는 정류장에서 700m 이상 떨어진 41개 마을을 대상으로 고령자와 장애인 등에게 연 4만3000 회 이상 이동 서비스를 제공했다. 행복택시 전용 카드로 승차 정보를 전산 처리해 투명성과 정산 효율성도 확보했다.
박성우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국장은 “농촌형 교통모델은 지역 특성과 주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통복지 구현이 핵심”이라며 “농촌 주민의 실질적 이동권 보장을 위해 농촌형 교통모델이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되도록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