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화, 오스탈 조선社 인수 제동걸렸다

17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주 정부가 자국 방산 기업 오스탈을 보호하기 위해 신규 자회사를 설립하고, 한화의 지분이 20%를 넘으면 정부가 이를 우선 인수할 권리를 부여한다고 발표했다.

오스탈은 호주 정부와 전략적 선박 건조 협정을 체결하고, 신설 자회사를 전략적 기업으로 지정해 경영권을 방어할 방침이다.

한화는 오스탈의 지분을 기존 9.9%에서 19.9%로 확대하려고 FIRB 승인을 요청했으며, 호주 재무부는 다음 달까지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호주 정부가 자국 방산 기업인 오스탈의 한화 인수 방어에 나섰다.

오스탈은 5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라는 신규 자회사를 설립하고 호주 정부가 이 기업을 국가 전략 기업으로 지정해 경영권을 방어하게 된다고 전격 발표했다.

한화의 오스탈 지분이 20%를 넘어서면 호주 정부가 이 핵심 자회사를 우선 인수해 보호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 것이다.

발표문에 따르면 오스탈은 한화의 오스탈 지분이 20%를 초과하면 호주 정부가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 지분을 공정 시장가격에 우선 인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할 방침이다.

호주, 자국기업 방어 극약처방

오스탈은 "호주 정부와 전략적 선박 건조 협정(SSA)을 최종 체결했다"며 "이 협정에 따라 신설하는 특수목적법인과 오스탈의 자회사인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가 전략적 함정 건조업체로 지정된다"고 전했다. 회사는 "연방 정부가 이 조건을 승인했으며 이 승인에 따라 공식 SSA 및 관련 계약 문서를 현재 준비 중이며 곧 체결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오스탈이 호주의 국방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신설 자회사를 전략 기업으로 지정해 보호막 역할을 하고 주권(소버린) 지분으로 불리는 콜옵션을 부여받아 경영권 방어에 나서는 방식이다.

오스탈은 발표문에서 "정부에 제공하는 주권 지분은 선박 건조 사업에 대한 이익을 보호하고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가 연방정부 사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며 "연방 정부는 단일 주권 지분을 통해 오스탈 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 업무를 규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스탈은 정부와 구체적인 계약 내용을 완성해 곧 발표하고 본계약을 체결하겠다고 공지했다.

앞서 한화는 미국을 중심으로 방산 사업 확대를 위해 지난 3월 호주 선박 제조사인 오스탈 지분 9.9%를 매입했다. 당시 한화는 지분 매입 배경에 대해 "현시점에서 지배권 제안이나 인수 제안을 제시할 의도가 없다"고 밝혔지만 이후 지분을 19.9%로 늘리기 위해 호주 재무부 산하 외국투자심사위원회(FIRB)에 승인을 요청한 상태다.

호주 회사법상 외국인 투자자가 FIRB 승인 없이 매입할 수 있는 상장기업의 최대 지분은 10% 미만이다. 호주 재무장관의 승인이 필요한 이 요청 건에 재무부는 다음달까지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짐 차머스 호주 재무장관은 이 승인 결정이 중요하고 민감한 문제라고 언급했다.

한화의 지분 매입 확대 승인 요청까지 더해지면서 자국 핵심 방산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호주 정부가 오스탈과 SSA를 체결하고 국가 전략기업으로 보호 조치를 가동하려는 것이다.

한화는 호주 정부 지분 승인 요청에 앞서 지난 6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오스탈에 대한 지분 인수 승인을 요청해 관련 허가를 획득했다. 오스탈이 호주 방산 기업이지만, 미국 군함도 건조하는 사업체이다 보니 최대주주 변경 때 미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위원회(CFIUS)의 허가를 얻어야 한다.

[이재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