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곳곳에 불꺼진 아파트”…부산 ‘악성 미분양’ 2010년 7월 이후 최다

2 days ago 1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산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물량이 14년 11개월 만에 최고치인 2663가구로 증가하며 주택시장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 물량은 올해 2월 이후 매월 증가세를 보이며, 6월에는 2010년 7월 이후 최댓값을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부산 주택시장의 활력을 위한 요인이 없으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 멈춰 서 있는 타워크레인 모습 [박형기기자]

한 아파트 건설현장에 멈춰 서 있는 타워크레인 모습 [박형기기자]

주택시장 침체가 길어지면서 부산 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물량이 14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 후 미분양은 공사가 끝났지만 팔리지 않은 주택으로, ‘악성 미분양’으로 불린다.

2일 국가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부산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총 2663가구로 집계됐다. 올해 1월 2268가구로 2000가구대에 진입한 뒤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악성 미분양 물량은 2월 2261가구에서 3월 2438가구, 4월 2462가구, 5월 2596가구로 매월 증가세를 보이다 6월(2663가구) 2010년 7월 이후 14년 11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2010년 1월∼2025년 6월까지 부산 준공 후 미분양 [지료 = 국가통계포털]

2010년 1월∼2025년 6월까지 부산 준공 후 미분양 [지료 = 국가통계포털]

부산은 미국발 금융위기 시기인 2009∼2010년 악성 미분양이 5000가구를 넘으며 최악의 시기를 지난 이후 장기간 1000가구 이하로 안정세를 유지해왔다.

사전 분양까지 포함한 부산 전체 미분양 가구는 6월 말 기준 5375가구로, 전월(5420가구)보다 소폭 감소했다.

전체 미분양 가구는 지난해 7월 5862가구로 2013년 이후 최대치를 찍은 뒤 4000가구대까지 하락했다가 다시 증가폭을 키우고 있다. 아직 통계에는 반영되지 않는 지난달 아파트 분양물량까지 합치면 미분양 물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부산 주택시장에 활기를 줄 요인 없이는 부산 부동산 경기 침체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입을 모은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