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일(현지시각) CNN에 따르면 돌로미티 산맥의 ‘인스타그램 핫플레이스’는 하루 최대 수천 명이 몰리면서 환경 훼손과 사유지 침해, 쓰레기 문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알토 아디제 알파인 클럽 회장 카를로 자넬라는 “사람들이 단지 사진을 찍기 위해 아무런 준비 없이 산에 들어오고 있다”라고 비판했다.
그는 “여행 인플루언서 계정을 차단하고, 입장료를 100(한화 약 16만원) 유로로 올려야 한다”라고 주장했다.이에 따라 세세다와 드레이진넨(세 봉우리) 등 주요 포토존을 통과하려면 최대 5유로(약 8000원)의 입장료를 내야 한다.
세세다의 초원에 땅을 소유한 전 이탈리아 국가대표팀 스노보더, 지주 게오르크 라벤세르는 “이것은 도움을 청하는 외침이었다”라며 지방 정부가 뚜렷한 대응을 하지 않자 주민들이 자구책에 나섰음을 강조했다.
그는 등산객들이 양산과 슬리퍼를 신고 산을 올라가는 것을 보았다며 케이블카를 타고 다니는 것을 비판했다. 이탈리아 법상 자연공원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은 보장되지만, 개찰구 설치에 대한 공식적 제재는 아직 없는 상태다. 현지 관광청은 공원 관리원을 늘리고 쓰레기 문제도 개선됐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하다.이 같은 관광객 통제는 돌로미티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오스타 계곡에서는 차량 진입을 제한하기 위해 유료 셔틀버스를 운영 중이며, 피에몬테의 일부 습지 지역은 주차 공간을 150대로 제한하고 있다. 또 브라이스 호수 등 일부 지역은 차량 1대당 40유로를 받으며 접근을 통제하고 있다.
이탈리아 전역에서는 관광객의 복장 및 행위에 대한 단속도 강화되고 있다.
토스카나, 리구리아, 사르데냐 등지에서는 상의를 벗거나 수영복 차림으로 도심을 활보할 경우 최대 500유로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며, 일부 해변은 입장 인원을 제한하거나 모래에 눕는 행위조차 제재하고 있다.
로마 남쪽의 산 펠리체 치르체오에서는 테이크아웃 술 판매가 금지됐고, 남부 풀리아에서는 해안가 500미터 이내 보트 음악도 단속 대상이다.
이번 규제 강화는 지역 생태계 보존과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조치로 보이며, 이탈리아 관광이 단순한 ‘인증샷’에서 벗어나 보다 책임감 있는 형태로 전환돼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서울=뉴시스]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