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마켓PRO 텔레그램을 구독하시면 프리미엄 투자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텔레그램에서 ‘마켓PRO’를 검색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김유성 유니스토리자산운용 전무
지난 1일 미국 주식시장은 다우, S&P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미국 고용시장이 급속하게 악화되고 있다는 미 노동부의 보고서가 발표된 영향이다. 지난달 미국 실업률은 4.2%로 전월(4.1%)에 비해 올랐다. 비농업 일자리는 7만3000개 증가에 그치면서, 전문가들의 증가폭 예상치였던 10만개를 밑돌았다. 이보다도 시장에 우려를 더 키운 것은 지난 5~6월 일자리 증가폭의 하향 조정이다. 기존 발표치보다 25만8000개 줄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과거 노동 통계치가 정치적으로 조작됐다고 주장하며 미 노동통계국(BLS) 국장을 해임했다.
이번과 같은 통계 수정은 진위를 떠나 경제 상황에 대한 전문가들의 판단을 흔들고 시장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시장에 주는 충격이 단순히 변경된 숫자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물론 샘플링 수치를 활용하는 현재의 방식에서 선택된 샘플이 급속히 변하는 산업·경제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는 있겠으나, 최근의 사건은 일기예보가 틀렸다고 기상통보관을 해고한 격으로 보인다는 얘기들도 나오는 상황이다.
미국의 경제학자나 언론 보도는 대부분 선제적인 금리 인하를 요구했던 Fed의 미셸 보먼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윌러 이사의 주장을 지지하는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노동력 참여율(LFPR)은 지난달 62.2%로 지난 5월 이후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금의 일자리 증가 폭 둔화는 경기 둔화의 영향보다는 까다로워진 이민 정책, 급속한 은퇴 증가 등으로 인해 노동 공급 측면에서 증가폭이 줄어든 영향이 클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만약 금리 인하 이후,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뒤늦게 나타나고, 노동 공급 부족으로 일자리는 증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후 미국이 쓸 수 있는 정책적 대응 여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Fed는 이같은 점을 고려해 선제적 금리 인하에 신중한 태도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GDPNOW에 따르면 올 3분기 미국 성장률은 2.1%로 추정된다. 미국의 하반기 실업률이 최대 4.8~4.9%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글로벌 자산 배분 관점에선 미국의 경기 둔화 가능성을 더 높게 반영할 때다. 미국 주식 투자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