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 막히자 전세로”…은행권, 주담대 이어 전세대출 조인다

17 hours ago 5

서울 전세가격 3개월 연속 오름세…1년 새 3166만 원 상승
전세대출 수요 억제 못 하면 가계대출 총량 목표 초과 우려

뉴스1
은행권이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전세대출’ 조이기에 돌입했다. ‘6·27 대출 규제’로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확 줄어들자 전세대출 수요가 꿈틀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신한은행은 ‘조건부 전세대출’ 규제를 수도권에서 전국으로 확대했고, 기업은행도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접수를 잠정 중단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전세대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경우, 정부가 대출 한도 제한 등 추가 규제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5대 은행 전세대출 123조…15개월째 증가세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의 지난 7월 전세대출 잔액은 123조3554억 원으로, 전월(122조9773억 원)보다 3781억 원 증가했다.

규모 면에서 758조 원에 달하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에 비해선 적지만, 지난해 4월(117조9189억 원) 이후 약 15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어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흐름이다.

특히 최근 ‘6·27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확 줄어들면서 전세대출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다시 130조 원을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이는 2023년 1월 기록했던 전세대출 잔액 수준이다.실제 KB부동산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중위 전셋값은 평균 5억 6333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월(5억 6000만 원) 대비 333만 원 상승하며,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전년 동기(5억 3167만 원)와 비교하면 3166만 원 상승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인해 부동산 매입 시기를 미루는 경우 당장 거주 공간이 필요한 사람들은 전세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2025.8.5/뉴스1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2025.8.5/뉴스1
은행권 주담대 넘어 ‘전세대출’ 조이기 돌입

은행권은 실수요 대출로 분류되는 전세대출까지 옥죄는 특단의 대책을 꺼내 드는 분위기다. 전세대출 수요를 억제하지 못할 경우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초과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신한은행은 지난 4일 ‘조건부 전세대출’의 취급을 제한한다고 밝혔다. 기존 ‘6·27 대출 규제’에 따라 수도권에만 적용되던 제한을 전국으로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

같은 날 기업은행도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신청 접수를 중단했다. 농협은행 역시 지난 6월부터 전세대출의 대면 갈아타기(대환)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정부는 대출 규제 발표 당시 하반기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당초 계획 대비 50% 수준으로 대폭 축소했다. 은행권이 주담대에 이어 전세대출 증가율까지 관리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전세대출 DSR’ 카드 만지는 정부

금융권은 정부가 전세대출에 대해서도 추가 규제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현재 전세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규제 사각지대’로 불린다.

최근 이재명 정부의 국정 로드맵을 수립 중인 국정기획위원회가, DSR 규제에서 제외돼 있는 전세자금대출과 정책모기지 등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도 지난해 초 업무계획에서 전세대출에 DSR 규제를 적용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지만, 실수요자에 대한 타격을 우려해 실행에는 옮기지 않았다.

이에 대해 국정위는 “DSR 적용 대상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