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29일(현지시간) 시장 기대와 달리 12월 기준금리 추가 인하를 두고 "기정사실이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이 영향으로 뉴욕증시가 상승폭을 되돌리고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4.37포인트(-0.16%) 내린 4만763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30포인트(0.00%) 내린 6890.59에 거래를 마쳤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30.98포인트(0.55%) 오른 2만3958.47에 마감했다.
나스닥 지수는 이날 상승으로 종가 기준 사상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다우지수와 S&P 지수는 이날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붐' 낙관론으로 급등 출발한 데 힘입어 강세를 보이다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이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으로 해석되면서 반락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Fed가 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3.75∼4%로 0.25%포인트 인하하기로 결정한 뒤 회견에서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는 것은 기정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12월 금리 인하를 거의 '기정사실'로 여겨온 시장은 원론적 입장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을 매파적으로 받아들였다.
파월 발언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기술 생태계의 중심에 있는 엔비디아는 이날 2.99% 상승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총 5조 달러를 돌파한 기업이 됐다.
엔비디아는 전날 워싱턴DC에서 개발자행사(GTC)를 열고 AI와 관련한 대규모 투자 계획과 사업 전망 등을 밝히면서 AI 낙관론에 다시 불을 붙였따.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엔비디아의 주력 AI 칩인 블랙웰 프로세서와 새로운 루빈 모델이 내년까지 전례 없는 매출 성장세를 이끌 것이라고 자신하며 항간에 돌던 'AI 거품(버블)' 우려를 일축했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3 days ago
4
![투심 몰린 파인트리, '렉라자 잡을까' 기대 후보[바이오 다크호스 펀딩]](https://image.edaily.co.kr/images/Photo/files/NP/S/2025/11/PS25110300007.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