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있는 날' 덕분에 지역 문화 여건도 개선됐다

4 days ago 1

2023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발표
지역 문화사업·인력, 2020년 대비 증가
'지역문화지수' 상위 10개, 서울·제주·경기
세종·대구·광주·충남·경남·울산·인천 등

  • 등록 2025-04-30 오전 8:00:00

    수정 2025-04-30 오전 8:00:00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한국문화관과연구원과 지역별 문화환경과 문화 격차 수준을 진단하기 위한 2023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결과와 이를 바탕으로 산정한 ‘지역문화지수’를 29일 발표했다.

2023년 기준 ‘지역문화실태조사’. (사진=문체부)

‘지역문화실태조사’는 ‘지역문화진흥법’ 제11조에 근거해 3년 주기로 진행하는 조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245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문화정책 △문화자원 △문화활동 문화향유의 4대 분류별 총 36개의 지역문화지표를 적용해 진행했다.

‘지역문화실태조사’에서는 2020년 조사와 비교 가능한 18개 지표 중 13개 지표의 기초 및 광역 지자체 평균값이 모두 증가해 지역의 문화 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치단체 지원 문화사업 비율(광역 66.4%, 10.2%p↑/기초 59%, 2.9%p↑) △문화가 있는 날 기획사업 건수(광역 5.5건, 17%↑/기초 5.6건, 100%↑) 등 문화정책 영역의 주요 지표가 증가했다.

또한 △지역문화예술법인·단체(광역 107.5개, 31.1%↑/기초 7.9개, 29.5%↑) △문예회관 500개 객석당 무대예술 전문인력 수(광역 4명 90.5%↑/기초 2.4명 84.6%↑) 등 지역문화인력과 조직 관련 지표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다만 지자체별 전체 예산 대비 문화 관련 예산 비율은 광역(0.32%p↓)과 기초(0.15%p↓) 지자체에서 평균값이 모두 감소해 다소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신규 지표로 추가한 지역문화시설 접근성에서는 기초 지자체를 기준으로 시·군·구의 중심점에서 공연장, 영화상영관 등 문화예술시설까지 걸리는 시간(차량 기준)은 평균 약 14분, 생활문화센터·작은도서관 등 생활문화시설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약 5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문화지수 상위 10개 지역. (사진=문체부)

2023년 기준으로 ‘지역문화지수’ 상위 10개 지역은 △서울 △제주 △경기 △세종 △대구 △광주 △충남 △경남 △울산 △인천 등이었다.

‘지역문화지수’는 지역별 문화 여건을 종합적으로 파악, 분석하기 위해 ‘지역문화실태조사’의 각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표준화한 것이다. 지역의 대략적인 문화 여건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 지역별 문화역량 및 수준을 나타내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지역문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의 지역문화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하위 요소 중 각 지역의 제도적 환경 및 정책적 지원 수준을 나타내는 문화정책 부문은 비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도시 △도농복합 △농촌 지역 순으로 높았다. 지자체별 재정자립도가 높을수록 지역문화지수가 높았다.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분석 결과는 지역 문화 여건이 개선되고 있음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문화 격차가 남아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화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문화환경 취약지역을 선정해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문화사업 지원을 확대해 지역별 문화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에 대한 보다 자세한 결과는 ‘문화셈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