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1782종-문화자원 127점 발견
도심 위치해 첫 ‘도시형 국립공원’
내년 상반기 개장… 연 312만 올듯
바다 위주 부산 관광지형 변화 기대
부산시는 최근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이 주재한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통과됐다고 5일 밝혔다. 위원회에 참석한 교수와 환경단체원 등 전문가 약 15명이 만장일치로 의결했다고 한다.
324만 명이 사는 부산의 도심 속에 개장할 금정산 국립공원의 총면적은 66.9㎢다. 금정·동래·북·사상·부산진·연제구 등 부산 6개 기초자치단체에 78%(52.1㎢), 경남 양산시에 22%(14.7㎢)가 걸쳐 있다. 환경부는 금정산이 비보호지역인데도 자연생태와 역사 문화, 경관 등이 모두 국립공원 지정 기준에 충족한 점을 이례적으로 평가했다. 이곳에는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한 1782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문화자원은 기존 23곳의 전국 국립공원 중 가장 많은 127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물로 지정된 범어사의 대웅전과 삼층석탑 등의 문화유산도 밀집했다. 312만 명 안팎으로 예상되는 연간 탐방객 수도 기존 국립공원 5위 수준이다. 모든 부산 시민 대부분이 연 1회 이상 찾은 셈이다.
금정산 국립공원은 전국 최초 ‘도시형 국립공원’으로 불리게 됐다. 설악산과 지리산처럼 도심과 멀리 떨어진 곳이 아니라 주민들이 슬리퍼를 신고도 오를 수 있는 주택가와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서울 북한산과 대구 팔공산 같은 국립공원들도 도시 경계부에 있어 방문하려면 차를 타고 한참 이동해야 한다.주변 자영업자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여태껏 부산을 찾는 관광객들은 해운대·광안리해수욕장과 자갈치시장 같은 해안 지역에 주로 몰렸다. 도심 곳곳의 탐방로 입구에 관광객이 많아지면 내륙 상권이 활성화될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국립공원 지정의 효과는 다양하다. 우선 관리 주체가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일원화된다. 기초지자체가 관할 구역을 나눠 관리했던 기존 방식과 다르게 공원공단이 예산과 전문 인력을 투입해 통일된 기준으로 관리한다. 탐방로의 신설과 정비는 물론 안전 구조 체계 구축, 훼손지 복원 등이 이뤄진다. 화장실과 탐방지원센터 같은 편의시설도 확충된다. 생태계와 문화재 관리도 전문적으로 시행된다.
‘국립공원 금정산’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식 개장은 내년 6월 이전일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시와 기초지자체는 공원공단에 금정산 관리 업무를 인수인계하고 있다. 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2005년 시민사회가 처음 제기했다. 2014년 10만 명이 참여한 서명운동으로 확산했고, 2019년 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본격화했다.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등 8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장기간 지정 운동을 펼쳤다. 금정산 내 높은 사유지 비율 등으로 이해관계가 복잡했으나 시는 공청회 등을 통해 합의를 끌어내 국립공원 지정을 확정 지었다.이동흡 부산시 공원도시과장은 “관련 법에 따라 산불 예방과 병충해 방제 등은 시가 계속 맡는다”며 “금정산을 국내 최고의 국립공원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김화영 기자 ru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4 hours ago
3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