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남침 보고받자 10초만에”…외손자가 밝힌 트루먼의 결단

12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리 S. 트루먼의 외손자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 씨는 최근 워싱턴 DC에서 열린 글로벌 평화포럼에서 할아버지가 한국전쟁 참전을 주저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트루먼이 북한의 남침 소식을 듣고 즉시 참전 결정을 내렸으며, 이는 3차 세계대전 발발의 우려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니얼 씨는 한국이 전쟁 당시 희생된 병사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트루먼 대통령. [사진출처 = 백악관 공식 초상화]

트루먼 대통령. [사진출처 = 백악관 공식 초상화]

미국의 6·25전쟁 참전을 결정하고 실행한 미국의 제33대 대통령 해리 S. 트루먼(1884~1972)의 외손자 클립튼 트루먼 대니얼(68) 씨는 25일(현지시간) 노근리국제평화재단 주최로 워싱턴 DC인근 한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평화포럼에서 “할아버지는 한국을 도우러 가는데 주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대니얼씨는 자신이 최근에 들은 이야기라면서 트루먼 당시 대통령(1945∼1953년 재임)이 “1950년 6월24일(미국 시간) 인디펜던스(미국 미주리주)의 자택에서 북한의 남침 소식을 전화로 들은 뒤 (참전을 결정하기까지) 10초도 채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당시 미국은 극동 방위선에서 한반도를 제외했다. 이 때문에 트루먼은 북한의 남침에 일정한 영향을 줬다고 비판을 받아왔다.

대니얼 씨는 “할아버지는 나중에 말하길 ‘무장한 (특정 사회 내부의) 소수집단의 지배 시도나 외부 압력에 저항하는 자유인들을 지원하는 것이 미국의 정책임에 틀림없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자신의 모친으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라면서 트루먼은 한국전쟁 발발 소식을 딘 애치슨 당시 국무장관으로부터 전화로 보고받은 뒤 북한의 남침이 3차 세계대전의 도래를 알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대니얼 씨는 ‘3차대전’ 발발을 막을 수 있도록 아시아와 유럽에서 공산주의 세력에 맞서는 ‘저지선’을 긋는 것이 트루먼의 목표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대니얼 씨는 한국이 6·25전쟁 때 희생된 한국과 미국, 그외 참전국 병사들의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을 역사적 사명이 있다고 강조했다.

언론인이자 작가로 활동했던 대니얼 씨는 1995년 할아버지에 관한 회고록을 펴내는 등 트루먼의 업적을 기념해왔다.

조부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에 원폭 투하를 결정했지만 후손인 그는 핵무기 반대 목소리를 내 온 것으로 유명하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