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7번째로 시스템 구축 중
지리 이점 제주에 지상 분야 설치
제주특별자치도는 22일 오후 도청 삼다홀에서 우주항공청과 KPS 개발 사업과 연계한 우주산업 육성과 협력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제주는 적도에 가까워 로켓 발사에 유리하고,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발사체나 페어링(위성 덮개) 등의 낙하가 안전하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전파 간섭, 공역 제한, 군 작전지역·통제구역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여기에 국가위성운영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주추적소, 한국천문연구원 KVN탐라전파천문대 등 우주 관련 국가 기반 시설도 갖추고 있다.
KPS 개발 사업은 2022년부터 2035년까지 추진되는 국가 위치·항법·시각(PNT)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완료되면 한국은 세계 7번째로 자체 위성항법시스템을 보유하게 된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하원테크노캠퍼스에 KPS 지상 시스템을 구축하고, 위성항법 기술 활용 확대, 지역 연계 응용서비스 및 실증사업 발굴, 전문 인력 양성 등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KPS는 위성·지상·사용자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하원테크노캠퍼스에는 위성 운영에 필요한 지상 시스템(통합운영센터, 위성관제센터, 안테나국, 감시국)이 구축돼 KPS 전체 운영의 중심 역할을 맡게 된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국가 전략 인프라 유치로 제주의 우주산업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상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해 제주가 우주항법 분야 전진기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제주가 한국 우주항법 인프라의 중심지로 자리 잡는 것은 지역 발전과 국가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중요한 계기”라고 강조했다.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