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사상 처음으로 14억원을 돌파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
![]() |
27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에 게재된 전월세, 매매 매물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
KB국민은행의 ‘7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지난달 대비 1.28% 오른 14억572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4월 처음으로 13억원을 돌파한 이후 3개월 만에 14억원선 마저 넘은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강남권 11개구는 17억 6410만원, 강북권 14개구는 10억 364만원이다. 강북권의 경우 2022년 11월 10억642만원 이후 2년 8개월 만에 다시 10억원대를 넘겼다.
다만 지난달 1.43%를 오르며 2021년 9월 1.69% 이후 3년 9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였던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는 1.28로 소폭 줄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지난달(0.47%)보다 소폭 확대된 0.50%로 집계됐다.
다만 6·27 대출 규제로 인해 시장이 얼어붙으며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역대 최고 하락폭을 경신했다. 7월 서울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전월(133.9) 대비 35.9포인트 내린 98.0으로 나타났다.
KB부동산은 전국 부동산 중개업소 6000여개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가’를 조사해 0~200 범위로 매매가격 전망지수를 낸다. 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상승(오를 것)’을 의미하며, 100 미만일 경우 ‘하락(떨어질 것)’을 뜻한다.
지난달 서울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33.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35.9포인트 하락 역시 월간 기준 최고 하락폭을 경신한 것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6·27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은 인천과 경기 역시 각각 지수가 94.6, 96.9로 100 아래로 떨어지며 ‘하락’ 지표를 보였다. 5개 광역시 중에서 울산(117.4)은 100 이상의 상승 전망을 보였지만 나머지 4개 지역은 모두 100 아래로 하락 전망을 보였다. 특히 광주의 경우 89로 세종(88)과 함께 전국 최하위 수준이었다. 전국 평균은 97이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서울 5분위(상위 20%) 아파트 평균 가격은 32억 1348만원으로 지난달(31억 4419만원)에 이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1분위(하위 20%) 아파트 평균 가격은 4억9192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