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질환으로 의원을 찾은 18세 미만 환자는 27만625명으로 2020년(13만3235명)과 비교했을 때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18세 미만 환자는 2020년 이후 2021년 17만2441명, 2022년 21만2451명, 2023년 24만4884명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아동 환자가 가장 많이 외래 진료를 받은 질환은 주의력결핍 과다 행동장애(adhd)를 포함한 ‘운동과다장애(F90)’로 꼽혔다. 우울에피소드, 기타 불안장애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많이 입원한 질환은 ‘우울에피소드’였으며 양극성 정동장애, 운동과다장애, 행동장애, 상세불명의 기분장애 등이 뒤를 이었다.
환자 수 증가세는 특히 7∼12세 연령대에서 가팔랐다. 남자 아동 환자는 2020년 3만3800명에서 2024년 7만6159명으로 2.3배로 늘었으며, 여자 아동 환자는 1만2260명에서 2만9165명으로 2.4배로 증가했다. 통상적으로 7~12세 사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ADHD 진단 증가세가 환자 수 증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아동·청소년 정신질환 증대의 원인으로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온라인 수업으로 교류가 단절되며 사회적 고립이 심화한 것이 꼽힌다. 또 학업 및 입시 스트레스의 부담도 가중되면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아동 청소년들이 늘어난 것으로도 보인다.
전문가들은 아동 청소년기 정신질환의 경우 조기에 진단을 받고 치료받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종익 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최근 20대 자살율이 굉장히 높은데 아동청소년기 억압됐던 것들이 20대 때 발현되는 것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조기에 정신과적 개입이 동반되는 게 청소년의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더욱 이롭다”고 말했다.
박경민 기자 mean@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