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무역 '脫미국' 조짐 수출국 다변화 中과 밀착

3 weeks ago 13

국제

아세안무역 '脫미국' 조짐 수출국 다변화 中과 밀착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아시아 지역의 탈미국화 현상을 부추기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에 더욱 밀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는 최근 중국과의 무역 확대를 위해 철도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정비하고 있으며, 필리핀은 경쟁국에 비해 낮은 관세율을 자랑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아시아 무역이 다시 중국 중심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중국이 새로운 수출 시장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中접경 태국·베트남·말레이
무역로 철도 인프라 정비나서
시진핑, 동남아국가 순방예정

◆ 관세전쟁 ◆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미·중 갈등의 최전선인 아시아 지역의 '탈미국화'를 부추킨다는 우려가 나왔다. 전통적으로 미·중 양쪽에서 중립 입장을 취해온 다수의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에 보다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과 국경을 맞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가 최근 철도 인프라스트럭처를 적극 정비하며 중국과의 무역 확대를 서두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상호관세가 공개된 지난 3일 조지 바르셀론 필리핀 상공회의소 회장은 필리핀 관세율이 경쟁국인 베트남·태국보다 낮아 외국 투자를 끌어들이기 좋은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동남아 국가들 상당수는 그동안 자유무역을 통해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왔다. 닛케이에 따르면 이번 미국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아시아 지역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에 달한다. 중국으로 무역 거래가 확대되는 현상은 지난 트럼프 1기 때도 나타난 바 있다.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한국, 일본, 동남아 등 13개국, 지역의 대중국 수출은 2020년까지 4년간 33% 늘었다. 이 같은 흐름은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출범 이후 다시 미국 수출 증가율이 중국을 압도하면서 역전됐다. 닛케이는 "트럼프 2기 출범 후 아시아 무역이 다시 중국 중심으로 회귀하는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역시 미국을 대체할 수출 시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달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를 연달아 방문할 예정이다.

[신윤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