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인 홍역 유행이 지속되면서 ‘홍역 퇴치국가’인 우리나라의 올해 홍역 환자도 지난 2019년 이후 6년 만에 최다를 기록 중이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이다. 이는 지난해 1년 전체 동안 발생한 환자 49명보다도 많은 것으로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다.
홍역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이다. 감염되면 발열, 발진, 구강 병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국내 홍역 환자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 6명, 2021년과 2022년엔 0명이었고 이후 2023년엔 8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한 홍역 퇴치 국가다.
2001∼2002년 홍역 대유행 시기 5만5000여 명의 환자가 나왔다가 정부의 집중적인 퇴치사업으로 환자가 급감하며 2006년 홍역 퇴치 선언을 했다.
이어 WHO가 강화한 인증 기준에 따라 2014년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지위를 유지 중이다.
소규모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홍역 퇴치국 지위가 유지되는 것은 국내 환자 대부분이 해외 유입 사례이기 때문이다.
올해 환자 52명 중에서도 34명이 해외에서 감염돼 들어온 경우고 나머지 18명은 이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전파된 경우다. 해외유입 대다수가 베트남발 감염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홍역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 유입 사례들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며 “다만 국내 접종률이나 감시체계 등이 안정적인 상황이어서 급속히 확산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