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옆집은 6억이나 싸대"…잠실 아파트서 벌어진 일

2 days ago 3

서울 송파구 중개업소에 매매·전세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한경DB

서울 송파구 중개업소에 매매·전세 안내문이 붙어있다. 사진=한경DB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같은 단지, 같은 면적임에도 신규와 갱신 가격에 큰 차이가 나는 전셋값 이중가격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31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달 넷째 주(28일) 기준 서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6% 상승했다. 지난해 12월까지 82주 연속 상승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잠시 보합을 거친 뒤 지난 2월부터 재차 26주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는 송파구다. 이번 주 송파구 전셋값은 잠실·문정동 역세권 위주로 0.28% 뛰었다. 올해 누적으로는 3.68% 올라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셋값이 빠르게 오르면서 이중가격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면적 84㎡는 지난 26일 15억원(13층)에 세입자를 들였다. 앞서 24일 11억5000만원(13층)에 전세 계약을 맺었는데 이틀 만에 같은 단지, 같은 면적 전셋값이 4억원 오른 것이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아파트를 내려다 본 모습. 사진= 최혁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동 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레이크팰리스 아파트를 내려다 본 모습. 사진= 최혁 기자

이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계약을 갱신한 거래와 신규로 체결한 전세 계약의 차이다. 2년 전 11억원에 체결한 전세 계약은 이번에 갱신하며 보증금을 5000만원 증액하는 데 그쳤지만, 새로 맺은 계약은 그간 오른 시세에 맞춰 15억원으로 이뤄진 셈이다.

잠실동 개업중개사는 "단지가 크다 보니 역에 가까운 앞쪽 동과 그렇지 않은 뒤쪽 동 사이에 전셋값 차이가 벌어지긴 하지만, 두 물건은 모두 역과 거리가 비슷한 앞쪽 동"이라며 "지난달만 하더라도 비슷한 동의 신규·갱신 전셋값 차이는 2억원 내외였는데, 최근들어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트리지움' 전용 84㎡ 또한 신규는 12억5000만원(18층), 갱신은 2억원 낮은 10억5000만원(10층)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레이크팰리스 역시 전용 84㎡에서 신규 전세 계약 14억원(21층)에, 갱신 전세 계약은 10억5000만원(13층)으로 3억5000만원 차이를 보였다. '잠실엘스' 전용 119㎡ 전셋값은 신규 17억5000만원(28층), 갱신 11억5000만원(3층)으로 6억원까지 벌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전세 매물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전세 매물은 1166건으로, 1년 전 3069건에 비해 62.1% 급감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전셋값 상승세와 이중가격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잠실동의 다른 개업중개사는 "전셋값이 오르니 기존 세입자들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적극 사용하고 있다"며 "결국 매물이 잠겨서 전셋값은 더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진=한국부동산원

사진=한국부동산원

다른 자치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광진구가 자양·광장동 위주로 전셋값이 0.12% 뛰었고 영등포구와 강동구도 각각 신길·여의도동 선호단지와 고덕·명일동 대단지 위주로 0.11%씩 올랐다. 용산구도 한남·문배동 역세권 위주로 0.09% 상승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전셋값이 내린 곳은 지난달 '메이플자이'가 입주를 시작한 서초구(-0.05%) 뿐이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지역·단지별 상승·하락 혼조세 나타나긴 하지만, 역세권·대단지 등 정주 여건이 양호한 단지는 매물이 부족해 전셋값 상승세가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은 0.12%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갔다. 다만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상승 폭은 전주 0.16%에 비해 소폭 낮아졌다.

자치구별로는 송파구가 송파·오금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0.41% 뛰었고 성동구가 금호·옥수동 위주로 0.22%, 서초구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0.21% 올랐다. 광진구와 용산구, 양천구도 각각 구의·광장동 역세권과 문배·서빙고동 주요단지, 목·신정동 위주로 0.17%씩 상승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