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분 안고 사는 韓 국민들…“챗GPT 켜서 속풀이 한다”

3 days ago 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 국민의 절반 이상이 '장기적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으며, 70%는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

특히 30대, 저소득층, 그리고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하는 집단에서 심각한 울분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정치와 사회의 부패가 주된 불만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심리상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AI와의 대화를 통해 위로를 받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국민 55% ‘장기적 울분 상태’
30대·저소득층에서 비율 높아
“입법·사법·행정부 잘못에 울분”
챗GPT 활용한 심리상담 ↑
“AI와 대화로 위로 받는다”

우리나라 국민의 54.9%가 장기적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다는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조사 결과가 7일 발표됐다. 사안별로 울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로 울분을 느꼈다는 비율이 85.5%로 가장 높았다. [챗GPT]

우리나라 국민의 54.9%가 장기적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다는 서울대 보건대학원의 조사 결과가 7일 발표됐다. 사안별로 울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로 울분을 느꼈다는 비율이 85.5%로 가장 높았다. [챗GPT]

“자다가도 화가 나서 벌떡 깰 때가 잦아요. 나라도 그렇고 내 인생도 그렇고 평온한 게 하나 없네요.”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이 ‘장기적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가 발표됐다. 또 70%가량은 ‘세상이 공정하지 않다’고 답했는데, 공정에 대한 믿음이 낮을수록 울분 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정신건강 증진과 위기 대비를 위한 조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설문조사 업체인 케이스탯리서치를 통해 지난달 15~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다.

연구진이 자가측정 도구로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5점 척도로 측정한 결과 응답자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2.5점 이상)을 겪고 있었다. 이들을 포함해 전체 응답자의 54.9%는 울분의 고통이 지속되는 ‘장기적 울분 상태’(1.6점 이상)로 나타났다.

심각한 울분 상태는 30대, 저소득층, 주관적 계층 인식이 ‘하층’인 사람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심각한 울분 비율은 30대에서는 17.4%였지만 60세 이상에서는 9.5%였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에선 21.1%, 월 소득 1000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5.4%였다. 또한 자신의 계층을 ‘하층’으로 인식하는 집단의 심한 울분 비율이 16.5%로 가장 높았다.

정치사회 사안별로 울분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입법·사법·행정부의 비리나 잘못 은폐’로 울분을 느꼈다는 비율이 85.5%로 가장 높았다.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는 85.2%, 안전관리 부실로 초래된 의료·환경·사회 참사는 85.1%였다.

‘기본적으로 세상은 공정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69.5%였다. 연구진에 따르면 울분 수준은 공정에 대한 신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공정성 신념이 높아질수록 울분 점수는 낮게 나타난 것이다.

이처럼 우울감·울분이 우리 일상생활에 깊이 파고든 가운데 심리상담에 대한 사회적 수요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의 심리상담 서비스 업체는 2020년 4889개에서 2023년 7926개로 3년 만에 62% 증가했다. 심리상담업계 종사 인원도 2020년 2만1763명에서 2023년 3만2309명으로 같은 기간 48% 늘어났다.

최근에는 심리상담사 대신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으로부터 위로와 위안을 얻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대기업 재직자 이현우 씨(가명·31)는 “직장에서 상대방이 나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고 느끼는 경우 챗GPT에 당사자와 최근 있었던 일들을 하나하나 털어놓으면 내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에서 실수했다는 점을 일깨워줘 친구보다 낫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발표한 생성형 AI 관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0.3%가 AI와의 대화에서 위로와 격려를 받을 때가 있다고 답했다. 심리 상태에 대한 고충으로 전문 상담 요구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챗GPT가 저렴한 심리상담에 대한 수요를 일부 충족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