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습격해 900여명 탈옥
대통령 군사시설로 긴급대피
SNS 차단으로 촉발된 시위
19명 사망하자 전국으로 번져
네팔 시위대가 정부의 소셜미디어(SNS) 차단을 통한 언론 통제 시도와 부정부패에 격분해 교도소를 급습하고 정부와 의회 건물에 불을 질렀다. 시위가 격화되자 당국은 군 병력을 도심에 배치했다.
10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네팔 시위대는 전날 카스키 교도소를 습격해 건물을 파괴하고 수감자 900명가량이 탈옥할 수 있도록 도왔다. 시위대는 다른 두 교도소에도 습격해 불을 질렀다.
시위대는 전날 사임한 샤르마 올리 총리의 자택을 포함해 정치인 24명의 관저와 정부 청사에도 불을 질렀다. 방화로 총리의 아내는 숨졌다. 대통령 관저에도 시위대가 들이닥쳐 불을 지르자 람 찬드라 포우델 대통령은 헬기를 타고 군사훈련 센터로 긴급 대피했다. 시위대는 국회의사당, 대법원, 검찰청에도 불을 질렀다.
경찰은 지난 8일부터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진압을 시도했다. 현재까지 20여명이 숨지고 500명 넘게 다쳤다.
총리 사임에도 시위가 오히려 확산되자 당국은 도심에 군 병력을 긴급 투입했다. 네팔 군 당국은 성명에서 “일부 집단이 현재 불안을 이용해 민간인과 정부 재산 모두에 피해를 주고 있다”며 자제를 촉구했다.
이번 시위는 네팔 정부가 지난 5일부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당국에 등록하지 않은 26개 SNS의 접속을 차단하면서 촉발됐다. 시위대는 많은 네팔인들이 주로 SNS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언론의 자유를 억제하기 위해 SNS 통제에 나섰다고 비판하며 시위에 나섰다. SNS에서 고위층 자녀들이 사치품과 호화로운 생활을 과시하는 모습이 생활고에 시달리는 이들과 대조하는 영상이 빠르게 공유된 것도 젊은층의 분노를 키웠다. 지난해 네팔의 청년 실업률은 20%에 달했다.
시위는 8일 경찰과의 충돌로 19명의 시위대가 사망하면서 대중의 분노가 커져 확산됐다. 이에 책임지고 올리 총리가 사임했지만 시위를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네팔은 의원내각제로 총리가 실권을 가진 행정 수반이고, 대통령은 의전상 국가 원수직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