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자리는 어떤 별자리죠?"… 중고생 문해력 갈수록 설상가상

9 hours ago 2

사회

"이부자리는 어떤 별자리죠?"… 중고생 문해력 갈수록 설상가상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명 중 1명꼴로 국어 실력이 기초학력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6년 연속 증가한 역대 최고 수준이다.

문해력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으며, 현장 교사 92%가 학생들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됐다고 응답했다.

반면, 수학 과목에서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육부는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저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교육부, 학업성취도 평가
6년 연속 문해력 역량 떨어져
코로나 시기 교육공백 영향도
高2 10% 국어 기초학력 미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명 중 1명꼴로 국어 실력이 기초학력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해력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가운데, 국어 기초학력에 미달하는 고등학생은 6년 연속 증가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2일 '202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 결과 국어 과목에서 기초학력이 떨어지는 고2 학생 비율은 해가 갈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과목에서 기초학력에 미달한 학생 비율은 2022년 8.0%에서 2023년 8.6%, 2024년 9.3%로 확대되는등 6년 연속 상승했다. 표집 집계가 시작된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단축과 원격수업이 반복됐던 시기의 학습 결손이 누적된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해 고2는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 중학교에 입학했다.

현장 교사들의 증언 역시 동일하다. 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전국 전국 5848명의 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어떻냐'는 질문에 교원들의 92%가 '저하됐다'고 답했다.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하거나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하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종종 목격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사회적으로 '이과' 선호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른바 '수포자' 비율은 줄었다. 고2 학생 중 수학 과목에서 기초학력에도 못 미친 학생 비율은 지난해 12.6%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인 2023년 16.6% 대비 줄어든 숫자로, 2022년 15.0%보다도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교육부는 "수학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 대한 지도와 관심이 늘어난 게 주효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교육부는 국어 과목 기초학력 저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권한울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