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국회·대통령실 세종시로 완전 이전 추진”

3 weeks ago 3

“임기내 의사당-집무실 건립하고
사회적 합의 거쳐 완전 이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16/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16/뉴스1
제21대 대선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17일 세종을 행정수도의 중심으로 완성하기 위해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을 임기 내에 건립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또 국회와 대통령실의 세종시 완전 이전을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겠다고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충청을 ‘행정·과학 수도’로 조성해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중심축으로 삼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충청은 국토의 중심이자 대한민국의 심장이다. 수도권과 남부권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라며 “충청의 심장이 힘차게 뛰어야 대한민국 경제의 혈맥이 살아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세종은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대전은 세계적 과학수도로 만들겠다”며 “충북은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충남은 환황해권의 거점으로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2019년 중단된 공공기관 이전도 조속히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무늬만 혁신도시’가 아닌 실질적 기능을 갖추겠다”며 “대전과 충남 혁신도시에는 지역 경쟁력을 고려한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 충북혁신도시는 중부내륙 성장거점으로 키우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대전을 과학수도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내세웠다. 그는 “대덕연구특구를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로 전환하겠다”며 “글로벌 융합연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인재 양성 인프라 확충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또 “삭감된 R&D 예산은 대폭 늘리고, 연구자와 기술자 정주 여건도 개선하겠다”며 “성과 지원을 두텁게 해 무너진 연구 생태계를 다시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대전(AI·우주산업)~세종(스마트행정)~충북(바이오·반도체·이차전지)~충남(디스플레이)을 잇는 유기적인 첨단산업벨트를 구축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그는 “대전 대덕연구특구는 AI와 우주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며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전략과 연계해 세종을 스마트·디지털 행정 허브로 자리매김하겠다”고 했다.아울러 “보령·태안·당진에 있던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지역을 태양광·풍력·그린수소 등 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하는 지역 지원 특별법을 추진하겠다”며 “논산, 계룡에 국방 관련 기관을 유치해 스마트 국방산업 발전을 지원하겠다”고도 했다.

이 전 대표는 환황해권 해양관광벨트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서해안 해양 생태 복원,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 지원, 해상교량 건설로 서해안 관광도로망 완성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충북 내륙은 휴양·힐링 관광벨트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이 전 대표는 “청주~증평~진천~음성까지 이어지는 관광·휴양지 조성을 지원하겠다”며 “충주호와 단양8경은 호반 관광·휴양벨트로 연결하고, 소백산~속리산~장령산~민주지산을 잇는 백두대간 탐방벨트 조성도 지원하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광역 교통망 구축을 위해 청주국제공항에 민간전용 활주로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또 충남 서산~천안~청주~경북 울진을 잇는 중부권 동서횡단철도를 조기 확정하고, 충북선·호남선 고속화를 서둘러 X자형 강호축 철도망을 완성하겠다고 했다.

이밖에 대전~세종~오송~청주공항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급행철도(CTX) 착공, GTX의 천안·아산 연장 추진, 잠실 또는 동탄에서 청주공항까지 이어지는 수도권내륙 광역철도 추진, 대전 도심 철도 지하화 단계적 추진, 제2 서해대교 건설 적극 검토 등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이 전 대표 경선 캠프 총괄본부장을 맡고 있는 강훈식 의원은 세종으로의 완전 이전 추진과 관련해 “세종 완전 이전은 수도 이전”이라며 “국민 동의와 사회적 합의가 충분히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해서는 “윤석열 정부가 공약은 했지만 실천하지 않았다”며 “지방 균형발전과 먹거리를 만드는 차원에서 서울의 공공기관 이전이 논의됐음에도 불구하고 실천하지 못한 것을 실천해나가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가 집권할 경우 집무실을 어느 곳으로 할 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많이 되는 사안”이라며 “용산 대통령실에 들어갈지 말지 정한 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많은 의견을 더 들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혜린 기자 sinnala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