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스타트업 M&A 사상 최대… IPO 대신 '매각' 택하는 창업가들

8 hours ago 3

일본 스타트업 M&A 사상 최대… IPO 대신 ‘매각’ 택하는 창업가들

일본 스타트업 인수·합병(M&A)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도쿄증권거래소(TSE)가 상장 요건을 강화하자 기업공개(IPO) 대신 회사 매각을 택하는 창업자가 급증하면서다. 스타트업 M&A 시장이 작은 한국도 엑시트 전략을 다변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일 스타트업 전문 조사기관 포스타트업스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에서 이뤄진 스타트업 M&A는 92건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M&A는 199건으로 2020년(84건)보다 두 배 넘게 늘었다. 반면 올해 상반기 IPO 건수는 21건에 그쳤다. 최근 몇년 내 최저 수준이다.

스타트업 인수가 늘어난 배경엔 일본 증시의 ‘상장 리셋’이 있다. TSE는 상장 후 5년이 지나도 시가총액이 100억엔(약 900억원) 미만인 기업은 상장폐지 대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TSE 그로스 시장에 상장된 600개사 중 60% 이상이 해당 기준에 못 미친다. ‘상장 유지’ 자체에 부담을 느낀 창업자들이 ‘IPO 전 매각’을 선택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동안 일본 증시 상장이 상대적으로 쉬워 많은 스타트업이 IPO를 택했던 것과는 상황이 달라졌다.

대기업과 금융그룹 주도의 스타트업 인수도 활발해지고 있다. 미쓰비시UFJ금융그룹(MUFG)은 지난 3년간 핀테크 영역에서 10억달러 이상을 투입해 스타트업 3곳의 인수를 단행했다. 미즈호금융그룹도 테크 스타트업 업사이더홀딩스를 약 3억달러에 사들였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 투자업계 관계자는 “일본에선 상장이 더 이상 ‘성공의 상징’이 아니다”라며 “상장보다 대기업에 인수되는 게 안정적인 자금 구조를 보장한다는 인식이 퍼졌다”고 말했다.

한국은 IPO 의존도가 유달리 높은 회수 시장이다. 상장시장이 얼어붙자 수많은 스타트업이 투자와 회수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에서도 M&A와 세컨더리 펀드 등으로 회수 경로를 다양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 대기업들이 일본 기업들처럼 ‘기술 흡수형’ 인수를 확대할 경우 스타트업 생태계 구조 자체가 달라질 것이란 말도 나온다. 국내 벤처캐피털(VC) 관계자는 “한국에서도 M&A를 스타트업의 자연스러운 성장 단계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정책적으로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업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