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현황
1월을 전기기간 1월로 정산전표 생성한 것을 전기기간 2월로 정산역분개를 진행한 경우는 원복 불가함.
1월에 정산을 다시 할 수는 있으나 기작업한 1월 정산전표가 남아 있음. -> 수동 조정 필요
전기기간 2월 역분개 작업 건은 다시 역분개 불가 -> 수동 조정 필요
■ 진행방법
1.KB15N으로 2차원가요소 조정
2.KB11N으로 1차원가요소 조정(2차원가도 가능한 것으로 보임 *이 부분은 재확인 필요)
3.아래는 조정전표가 WBS에서 세그먼트로 정산된 것을 역분개해야 하는 상황이고 KB15N에서는 세그먼트 사용 불가하여 KB11N으로 작업한 내용임.
4.대량 건은 LSMW 사용하여 일괄반영 진행
1)LSMW 실행 후 KB11N을 Recording을 진행함.
2)센터에 수익성 세그먼드를 입력하고 리시버에 WBS를 입력함.
3)대량으로 업로드 할 엑셀파일을 만듬.
4)Text로 붙여넣음.(설정을 Tab로 진행하였음)
5)파일을 읽고, Convert함. 각각의 내용 확인해야함.
6)배치파일을 생성하고 실행하면됨.
■ 주의사항
1.QAS가 있으면 QAS에서 테스트 후 진행 필수.
2.센더 CO Object/세그먼트와 리시버 CO Object/세그먼트의 값이 잘들어있는지 확인필요함.
Standard report를 활용하여 금액 확인 필수임.
- 참고로 LSMW를 한번에 하려고 하였으나 세그먼트를 띄우고 삭제하는 과정에서 CO Object가 잘못 들어가는 현상이 발견되어 세그먼트 사용하는 LSMW 별도로 생성함.
- 헤더와 아이템으로 구분하여 작업은 한번 시도해보시길 바랍니다.
(KB11N에 New Entry 버튼이 없어서 그냥 라인별 전표생성으로 진행하였고, 확인버튼을 누르면 다음 아이템단에 라인을 추가가능해 보임)
- 실제로 작업 후 데이터 확인 시 참조절차에 COBK로 들어가 있음. 정산전표는 AUAK는 정산전표임.
따라서, 해당 작업 후 정산을 진행하면 같이 정산되기 때문에 해당 작업을 진행할 경우는 정산완료 후 수정작업을 진행해야 함.
2차원가요소는 KB15N으로 조정가능함. 세그먼트는 KB15N으로 조정불가하여 KB11N으로 작업진행하였음.
1. KB15N과 KB11N의 기본 기능 및 차이점
KB15N: 수동 비용 할당 (Enter Manual Allocations)
- 용도: KB15N은 주로 **2차 비용 요소(Secondary Cost Elements)**를 사용하여 비용 센터, WBS 요소, 내부 오더 등의 비용 객체 간 비용을 수동으로 할당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배부(Allocation) 프로세스로, 송신자(Sender)와 수신자(Receiver)를 명시적으로 정의합니다.
- 특징:
- 주로 2차 비용 요소(예: 비용 요소 카테고리 42, 43)로 작업하며, 1차 비용 요소(Primary Cost Elements)도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
-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비용 이동이 명확히 추적되며, 송신자의 신원(Identity)이 유지됩니다.
- 예: 비용 센터 A에서 비용 센터 B로 2차 비용 요소를 통해 비용을 배부.
세그먼트 관련: 표준 SAP 설정에서는 KB15N의 입력 화면에 수익성 세그먼트(Profitability Segment) 필드가 기본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는 KB15N이 주로 CO 내부 객체 간 비용 할당에 초점을 맞추고, CO-PA(Profitability Analysis)와의 직접적인 연계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KB11N: 수동 비용 재분개 (Enter Manual Repostings of Costs)
- 용도: KB11N은 **1차 비용 요소(Primary Cost Elements)**를 사용하여 비용 센터, WBS 요소, 내부 오더 등 CO 객체 간 비용을 재분개(Reposting)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잘못된 비용 객체로 게시된 비용을 수정하거나 재조정하는 데 적합합니다.
- 특징:
- 2차 비용 요소는 지원하지 않으며, 1차 비용 요소(예: 비용 요소 카테고리 1, 11)만 사용 가능.
- 재분개 시 원래 송신자의 신원이 유지되지 않고, 새로운 수신자로 비용이 직접 전기됩니다.
- 예: 비용 센터 X에서 비용 센터 Y로 비용을 재분개.
세그먼트 관련: KB11N은 표준 설정에서 **수익성 세그먼트(Profitability Segment)**를 입력할 수 있는 필드를 제공합니다. 이는 CO-PA와 통합되어 있어, 비용을 특정 수익성 세그먼트로 직접 전기할 수 있습니다.
주요 차이점 요약
항목 | KB15N | KB11N |
비용 요소 | 주로 2차 비용 요소, 일부 1차 비용 요소 | 1차 비용 요소만 지원 |
프로세스 | 비용 배부 (Allocation) | 비용 재분개 (Reposting) |
송신자 추적 | 송신자 신원 유지 | 송신자 신원 유지 안 함 |
수익성 세그먼트 | 기본적으로 지원 안 함 | 지원 가능 |
CO-PA 연계 | 제한적 | 직접 연계 가능 |
2. KB15N에서 세그먼트 설정 가능 여부
현재 제약
- KB15N의 표준 입력 화면은 수익성 세그먼트(Profitability Segment) 필드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KB15N이 주로 CO 내부 객체 간 비용 배부를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CO-PA 모듈과의 직접적인 통합이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수익성 세그먼트는 CO-PA에서 특정 시장 세그먼트(예: 제품, 고객, 지역 등)에 비용이나 수익을 할당하는 데 사용되며, KB15N의 주요 목적(2차 비용 요소를 통한 배부)과는 기능적 초점이 다릅니다.
- KB15N에서 입력 가능한 주요 필드는 송신자(Sender), 수신자(Receiver), 비용 요소(Cost Element), 금액(Amount) 등이며, CO-PA 특성(Characteristics)이나 세그먼트를 직접 지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표준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세그먼트 추가 가능 여부
KB15N에서 수익성 세그먼트를 추가하려면 표준 기능을 벗어나 커스터마이징 또는 개발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주요 접근 방식입니다:
- 화면 확장 (Screen Enhancement):
- 방법: KB15N의 입력 화면에 사용자 정의 필드(User-Defined Fields) 또는 수익성 세그먼트 필드를 추가하기 위해 화면 확장을 구현합니다.
- 기술적 접근:
- 제약: 화면 확장은 ABAP 개발자의 지원이 필요하며, CO-PA와의 데이터 연계 로직을 철저히 테스트해야 합니다. 잘못된 구현은 데이터 무결성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BAPI 활용:
- 방법: BAPI_ACC_ACTIVITY_ALLOC_POST 또는 BAPI_COSTACTPLN_POSTACTINPUT 같은 BAPI를 사용하여 KB15N의 전기 로직을 커스터마이징하고, 수익성 세그먼트를 포함한 데이터를 CO-PA로 전송합니다.
절차:
- BAPI 입력 구조에 수익성 세그먼트 필드(예: PAOBJNR, PSG)를 추가.
- KB15N 전기 후 CO-PA 테이블(CE4xxxx, CE1xxxx)에 데이터가 올바르게 반영되는지 확인.
- LSMW 또는 커스텀 프로그램으로 대량 전기를 지원하도록 설정.
- 장점: BAPI는 표준 API로 안정적이며, CO-PA 통합이 용이합니다.
- 제약: BAPI 호출 시 CO 내부 객체와 CO-PA 객체 간의 매핑이 정확해야 하며, 추가 개발 비용이 발생합니다.
- 방법: BAPI_ACC_ACTIVITY_ALLOC_POST 또는 BAPI_COSTACTPLN_POSTACTINPUT 같은 BAPI를 사용하여 KB15N의 전기 로직을 커스터마이징하고, 수익성 세그먼트를 포함한 데이터를 CO-PA로 전송합니다.
절차:
- 커스텀 프로그램 개발:
- 방법: KB15N 대신 수익성 세그먼트를 포함한 비용 배부를 처리하는 별도의 Z-트랜잭션(커스텀 트랜잭션)을 개발합니다.
- 절차:
- Z-프로그램에서 송신자, 수신자, 비용 요소, 수익성 세그먼트를 입력받는 화면을 설계.
- BAPI_ACC_DOCUMENT_POST 또는 BAPI_COSTACTPLN_POSTACTINPUT을 호출하여 CO와 CO-PA에 동시 전기.
- COEP, COBK, CE1xxxx 테이블에서 데이터 일관성을 검증.
- 장점: 유연성이 높고,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 가능.
- 제약: 개발 및 유지보수 비용이 크며, 표준 프로세스와의 통합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 CO-PA 할당 구조 수정:
- 방법: KB15N 전기 후, 정산(Settlement) 또는 배부(Assessment) 프로세스에서 수익성 세그먼트를 지정하도록 CO-PA 할당 구조를 수정합니다.
- 절차:
- SPRO에서 Controlling > Profitability Analysis > Flows of Actual Values > Integration with Project System 경로로 이동.
- 정산 규칙(COBRB 테이블) 또는 배부 사이클(KSU5, KSV5)을 설정하여 WBS 요소에서 CO-PA 세그먼트로 비용을 전송.
- KB15N으로 전기된 비용을 중간 WBS 요소로 전기한 후, CJ88 또는 KSU5를 통해 CO-PA로 정산.
- 장점: 표준 기능을 활용하므로 개발 비용이 적음.
- 제약: KB15N 자체에서 세그먼트를 입력하는 요구사항을 직접 충족하지 못하며, 추가 정산 단계가 필요합니다.
구현 가능성 및 권장사항
- 기술적 가능성: 화면 확장, BAPI, 또는 커스텀 프로그램을 통해 KB15N에 수익성 세그먼트 입력 기능을 추가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표준 SAP 기능을 벗어나므로, ABAP 개발자와 CO-PA 컨설턴트의 협력이 필수입니다.
- 권장 접근:
- 단기: KB15N으로 비용을 중간 CO 객체(예: WBS 요소)로 전기한 후, CJ88 또는 KSU5를 통해 CO-PA 세그먼트로 정산하는 방식이 가장 간단합니다. 이는 표준 프로세스를 활용하며 추가 개발이 필요 없습니다.
- 장기: 비즈니스 요구사항이 지속적으로 CO-PA 세그먼트 입력을 요구한다면, BAPI 기반 커스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KB15N의 한계를 보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테스트 필수: 모든 커스터마이징은 테스트 환경에서 철저히 검증해야 하며, COEP, CE1xxxx, CE4xxxx 테이블에서 데이터 일관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3. KB11N에서 세그먼트 설정 가능 이유
- CO-PA 통합: KB11N은 1차 비용 요소를 처리하며, CO-PA와의 직접적인 통합이 표준적으로 지원됩니다. 입력 화면에서 PAOBJNR(수익성 세그먼트 번호) 필드를 통해 세그먼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화면 구성: KB11N의 프로그램(SAPLK23F1)은 CO-PA 특성 입력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SPRO 설정(Controlling > Profitability Analysis > Structures > Define Profitability Segments)에서 특성 필드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흐름: KB11N으로 전기된 데이터는 COEP(실제 라인 아이템)와 CE1xxxx(CO-PA 실제 라인 아이템) 테이블에 동시에 반영되며, 수익성 세그먼트 정보가 CE4xxxx(세그먼트 마스터)와 연결됩니다.
KB15N과의 차이
- KB15N은 2차 비용 요소를 주로 처리하며, CO-PA로의 직접 전기는 표준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이는 SAP의 설계 철학상 2차 비용 요소가 CO 내부 배부에 초점을 맞추고, CO-PA는 1차 비용 요소 또는 정산 프로세스를 통해 연계되기 때문입니다. KB11N은 FI/CO 통합과 CO-PA 통합에 더 적합하며, 세그먼트 입력이 비즈니스 요구사항(예: 시장별 수익성 분석)에 부합합니다.
4. 대안 및 실무적 해결책
KB15N에서 수익성 세그먼트를 직접 입력하는 대신, 다음 대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KB11N 활용:
- 적용: 1차 비용 요소로 처리 가능한 경우, KB15N 대신 KB11N을 사용하여 수익성 세그먼트를 직접 지정합니다.
- 제약: 2차 비용 요소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2차 비용 요소를 1차 비용 요소로 대체할 수 있는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검토해야 합니다.
- 정산 프로세스 활용:
- 방법: KB15N으로 WBS 요소 또는 내부 오더로 비용을 전기한 후, CJ88(프로젝트 정산) 또는 KO88(내부 오더 정산)을 통해 CO-PA 세그먼트로 비용을 전송합니다.
- 설정: SPRO에서 정산 규칙(COBRB 테이블)에 CO-PA 세그먼트를 지정하거나, KOSRLIST로 확인합니다
- 장점: 표준 프로세스를 활용하므로 안정적이며, 추가 개발이 필요 없습니다.
- KSU5/KSV5로 배부:
- 방법: KB15N으로 중간 비용 객체에 전기한 후, KSU5(실제 평가) 또는 KSV5(실제 배부)를 사용하여 CO-PA 세그먼트로 비용을 배부합니다.
- 설정: 배부 사이클에서 수익성 세그먼트를 수신자로 지정합니다(예: Segment 특성 활성화).
- 장점: 2차 비용 요소를 처리하며 CO-PA와 통합 가능.
- 커스텀 보고서:
- 방법: KB15N 전기 후, SE16N 또는 SQVI를 사용하여 COEP, CE1xxxx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CO-PA 세그먼트를 수동으로 매핑하는 보고서를 개발합니다.
- 장점: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유연하게 데이터를 분석 가능.
- 제약: 실시간 전기와는 달리 후속 분석에 초점을 맞춤.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