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50여년 만에 CI 바꿨다…"글로벌 제약사 도약"

15 hours ago 1

종근당, 50여년 만에 CI 바꿨다…"글로벌 제약사 도약"

올해 창립 84년을 맞은 종근당이 회사의 ‘얼굴’로 꼽히는 기업이미지(CI)를 변경했다. 예방부터 치료까지 헬스케어 전 분야에 혁신 기술을 도입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종근당이 CI를 바꾼 것은 1970년대 중반 이후 반세기 만이다.

종근당, 50여년 만에 CI 바꿨다…"글로벌 제약사 도약"

종근당은 7일 서울 충정로 본사에서 열린 창립 84년 기념식에서 새 CI를 선포했다고 밝혔다. 선포식에서 이장한 종근당 회장(사진)은 “새 CI와 함께 글로벌 제약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종근당의 미래 비전인 ‘창조적 K-헬스케어 DNA’(Creative K-healthcare DNA·CKD)를 실현하겠다”고 했다. 인류가 건강한 삶을 누리도록 기여한다는 제약사의 사명을 다하겠다는 취지다.

전통 제약사인 종근당은 글로벌 신약 개발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종근당의 R&D 인력은 549명으로 전체 직원 대비 23.5%를 차지했다. 국내 주요 제약사 중 R&D 인력 비중이 가장 높다. 종근당은 2023년 11월 스위스 노바티스에 희소질환 신약 후보물질 ‘CKD-510’을 최대 1조7300억원 규모로 기술 수출하며 ‘혁신 기술 중심 기업’으로 체질 전환에 나섰다. 이번 CI 변경으로 이런 변화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종근당은 차세대 신약 기술로 꼽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플랫폼 기술 확보에도 앞장서고 있다. 올초 이 회장은 시무식을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합성신약, 표적단백질분해제(TPD) 등을 개발하기 위해 미래 로드맵을 세우겠다고 밝혔다. 경기 시흥시와 배곧지구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 논의도 하고 있다. 자회사 경보제약은 지난 2월 국내 바이오기업 바이넥스와 손잡고 ADC 의약품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진출을 본격화했다. 2027년 하반기부터 임상시험용 제품 등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종근당은 새 CI에서 상징 이미지인 ‘종’ 크기를 키우고 글자체를 ‘종근당 미래체’로 바꿨다. 영문 CI는 ‘ChongKunDang’에서 ‘CKD’로 축약했다.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종근당은 그동안 내부적으로 경영 쇄신이 필요할 때마다 CI를 변경했다. 국산 의약품 수출 효시를 이끈 1960년대 말엔 ‘완벽한 품질의 의약품을 생산하겠다’는 뜻을 CI에 담았다. 1970년대 초엔 영문 문구를 포함해 국제화 의지를 나타냈다. 현 CI가 자리 잡은 것은 1970년대 중반이다. 당시 한국 서예 대가인 김충현 선생의 일중체로 제작한 서체에 ‘중앙연구소 개소’ 뜻을 담아 지금까지 활용해왔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