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우주전쟁, 반드시 승리”…NASA, 2030년까지 달에 원자로 건설 계획

15 hour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와의 우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달에 원자로를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NASA의 더피 임시국장은 2030년까지 100㎾ 원자로 건설을 목표로 업계의 제안을 받을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자로는 태양 빛이 없는 약 2주간의 밤 시간에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우주인의 체류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달 착륙 자료 사진 [사진출처=연합뉴스]

달 착륙 자료 사진 [사진출처=연합뉴스]

미국이 중국, 러시아와의 우주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달에 원자로 건설이라는 승부수를 던졌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달 표면에 원자로를 건설하는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폴리티코가 입수한 NASA 내부 문건 등에 따르면 NASA 임시국장을 겸임하는 숀 더피 교통부장관이 이번 주 안에 구체적인 건설 시점 등을 담은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더피 임시국장은 2030년까지 달에 100㎾ 원자로를 건설하는 방안에 대해 업계의 제안을 받아보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폴리티코는 밝혔다.

달의 하루는 지구에서 약 29.5일이다. 약 2주 간격으로 낮과 밤이 바뀐다. 일반적인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로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어렵다.

원자로를 건설하면 태양 빛이 없는 2주간의 ‘밤’ 시간대에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돼 우주인의 체류 기간도 길어질 수 있다.

이 계획과 관련해 익명의 NASA 관계자는 폴리티코에 “제2의 우주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우주 탐사 분야에서 선두주자였지만 최근 중국과 러시아 등의 맹추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도 NASA가 원자로 건설 계획 시한으로 공개한 2030년에 유인 탐사선을 달에 보내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우주탐사 프로젝트를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예산을 대대적으로 삭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내년도 유인 우주탐사 계획에 대한 예산의 경우 증액을 예고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