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막자"…보디캠·드론까지 동원하는 건설사들

3 days ago 2

서울 시내 한 재건축 공사 현장 모습. 사진=김범준 기자

서울 시내 한 재건축 공사 현장 모습. 사진=김범준 기자

정부가 사망 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한 건설회사 등에 징벌 수준의 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검토하자 건설업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건설사는 사고 예방을 위해 CCTV 설치, 보디캠·드론 촬영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지만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까 봐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9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똑같은 현장에서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고의에 가깝다”며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검토를 지시했다. 대형 건설사인 포스코이앤씨에서 올해 들어 잇달아 사망 사고가 발생한 것을 거론하며 나온 말이다. 올해만 포스코이앤씨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망한 사건이 네 차례 발생했다.

"중대재해 막자"…보디캠·드론까지 동원하는 건설사들

최근 정부와 국회 등에서 사망 사고 처벌 강화 움직임을 보이자 건설사들은 사고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국내 모든 현장의 작업을 중단하고 긴급 안전 점검에 들어갔다.

DL이앤씨는 지난해 통합 스마트 안전관제 플랫폼 개발을 마치고 현장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근로자의 출입 현황, 실시간 위치, 작업 현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위험 요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사에 통합관제시스템(VMS)을 구축하고 사업장에 설치된 CCTV를 연계해 전국에 흩어져 있는 현장 상황을 살피고 있다. 올해 중대재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전국 현장에서 관리·감독자 몸에 보디캠을 부착해 세세한 움직임까지 상시 기록하고 안전사고 발생 시 증빙자료로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은 ‘재해 예측 인공지능(AI) 시스템’ 등 스마트 안전 기술 개발과 적용에 힘쓰고 있다. AI, 사물인터넷(IoT), 로보틱스, 드론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현장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삼성물산은 건설안전연구소를 설립해 중대사고 예방,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 힘쓰고 있다.

대우건설은 2023년 개발한 모바일 기반 안전관리 앱 ‘스마티(SMARTy)’를 활용하고 있다. 현장소장의 순회 점검을 강화해 결과를 스마티로 등록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GS건설은 스마트 안전 관제 플랫폼 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현장 안전을 점검한다. 외국인 근로자 소통을 위한 AI 기반 번역 서비스인 ‘자이보이스’도 도입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예상치 못한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건설사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을 통해 제재가 이뤄지는 상황에서 추가적인 처벌은 과도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징벌적 처벌까지 가하면 공사비 상승과 미분양 등으로 어려운 건설사의 고충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정락 기자 jr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