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카카오톡을 통해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했다. 카카오톡 대화 맥락을 기반으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다.
카카오는 28일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기존 챗GPT를 사용하는 것처럼 카카오톡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 간단한 질문부터 복잡한 요청까지 카카오톡 내에서 대화하듯 편리하게 활용 가능하다. 챗GPT의 답변을 채팅방에 공유하거나 채팅방에서 대화 중 챗GPT에 손쉽게 질문할 수도 있다.
이미 오픈AI 계정을 통해 챗GPT를 사용해오던 이용자들은 기존 계정을 통해 챗GPT 포 카카오를 사용할 수 있다. 신규 이용자는 카카오 계정으로 간편하게 챗GPT 가입이 가능하다. 가입이나 로그인 없이도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단, 무료 이용자의 경우 챗GPT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사용 한도가 존재한다.
챗GPT 포 카카오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되는 AI 에이전트인 카카오 툴즈를 통해 더욱 풍부한 경험을 제공한다. 출시 당시 카카오 툴즈에는 카카오맵, 카카오톡 예약하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멜론이 포함된다.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련 서비스를 자동 연결해 가장 적절한 답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합정역 근처에 크로플 파는 곳을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카카오 툴즈가 카카오맵을 호출해 구체적인 위치와 정보를 제공한다.
카카오 툴즈는 카카오·카카오 그룹 내 서비스를 우선 반영한 뒤 추후 외부 서비스와의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한층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카카오는 정보 보안도 강조했다. 챗GPT 포 카카오는 이용자의 데이터 주권을 최우선으로 한다. 이용자가 직접 대화 내용 저장 여부와 AI 학습 반영 여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이용자 정보는 카카오와 챗GPT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안전하게 보호된다.
유용하 카카오 AI 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챗GPT 포 카카오를 통해 누구나 더 쉽게 AI를 접하게 됨에 따라 AI 활용도가 크게 높아지리라 기대한다”며 “카카오는 이를 통해 AI를 단지 ‘기술’이 아닌 ‘일상의 일부’로 바꿔 가는 일상 AI 시대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지난 16일부터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카나나 인 카카오톡 베타테스트를 시작했다. 카카오톡 대화 맥락을 이해해 필요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선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보 검색, 장소·상품 추천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고 매일 ‘선톡 브리핑’을 제공해 놓치기 쉬운 일정도 꼼꼼하게 챙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카카오톡 대화 이해를 위해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 나노’를 활용한다. 카나나 나노는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글로벌 모델을 압도하는 성능을 입증했다. 또한 경량화된 모델로 기기 내에서 동작 가능해 높은 수준의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확보했다.
카카오는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내년 1분기 중 안드로이드로 서비스를 확대한 이후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10월부터 운영 중인 ‘카카오 AI 앰배서더’도 베타테스트에 참여 중이다. AI 앰배서더가 서비스 개선 의견을 전달하면 카카오가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 완성도와 안정성을 높일 계획이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이용자가 더욱 다양한 제안을 받아볼 수 있도록 ‘선톡 브리핑’ 대상도 점차 확장한다. 카카오 자체 서비스뿐 아니라 외부 파트너와 협력해 이용자가 받아볼 수 있는 콘텐츠 또한 늘릴 예정이다. 동시에 양질의 답변을 제공하는 특화 에이전트 개발·연동도 늘려나간다는 목표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4 days ago
6

![[포토] 빼빼로 먹는 젠슨 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7980.1.jpg)
![[포토] 국내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젠슨 황](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01.42236803.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