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자산관리 준비에 한창인 중장년층 사이에서 유언대용신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유언대용신탁은 생전에 계약을 맺어 금융회사 등에 자산 관리를 맡기다가 계약자가 사망하면 과거 체결한 계약 내용에 따라 재산을 배분하는 방식이다. 해당 신탁 상품 가입자가 빠르게 불어나면서 어느덧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유언대용신탁 잔액이 4조원을 눈앞에 뒀다.
내 뜻대로 상속 설계
2일 금융권에서 따르면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유언대용신탁 잔액은 3조8150억원으로 올해 들어 8.5% 늘었다. 2020년 말(약 8800억원) 이후 네 배 이상 불어났다. 이러한 증가세가 이어지면 올해 안에 4조원을 넘어설 것이 유력하다.
유언대용신탁은 위탁자의 뜻대로 재산 분배방식을 설계할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예컨대 첫째 아들에게는 부동산을, 둘째 딸에게는 현금을 각각 물려주라고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녀가 부양의무를 다하거나 직장을 다니고 있어야 상속할 수 있다는 등의 구체적 조건도 달 수 있다. 미성년 자녀가 조만간 상속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면 일정한 연령이 됐을 때부터 매달 얼마씩 재산을 물려주겠다고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팝스타 마이클 잭슨도 이 방식을 통해 미리 어머니와 자녀, 자선단체 등에 재산을 상속하도록 설계했다. 유연한 설계를 통해 상속 분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유언대용신탁은 위탁자가 살아있을 때도 유용하다.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인지능력이 떨어져 의사소통이 어려워졌을 때 재산의 일부를 처분해 요양비나 병원비를 매달 내도록 미리 계획할 수 있다. 1인 가구의 경우 사망 후 장례와 봉안 등의 준비까지 해놓는 게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 활용도가 높다는 평가다.
문턱 낮추는 은행들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가치 상승으로 상속재산이 거듭 늘면서 유언대용신탁 시장도 함께 커지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상속재산은 44조5169억원으로 2020년(21조4779억원)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상속세 납부가 확정된 인원은 2만1193명으로 사상 최대다. 은퇴 시기를 맞은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노후 준비에 한창인 것도 유언대용신탁 수요를 늘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은행들은 이 같은 추세에 발맞춰 공격적으로 고객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초 위탁재산이 1000만원만 돼도 가입이 가능한 ‘간편형 유언대용신탁’을 출시했다. 이전까지 이 은행에선 위탁재산이 10억원 이상이어야 유언대용신탁에 가입할 수 있었다. 국민은행은 최근엔 자녀나 손자에게 증여할 현금 규모와 증여 방식을 미리 설계하는 상품인 ‘KB골든라이프 증여플랜신탁’도 출시했다.
우리은행은 이달 말 최소 위탁재산이 1000만원인 ‘우리내리사랑 안심신탁’을 출시할 예정이다. 현재는 5000만원 이상만 유언대용신탁에 가입할 수 있다. 농협은행은 앞서 지난 5월 최소 위탁재산 기준을 3억원에서 5000만원으로 낮췄다. 신한은행의 경우엔 2022년 8월부터 아예 금액 기준을 없앴다.
2010년 금융권 최초로 유언대용신탁을 시작한 하나은행은 다양한 유형의 상품을 내놓으면서 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이미 4년 전 100만원만 갖고도 가입이 가능한 치매대비신탁을 출시해 진입 문턱을 크게 낮췄다. 그 후 장애인신탁, 후견신탁, 49재신탁, 기부신탁 등 각종 신상품을 통해 중장년층을 공략하고 있다.
김진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