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자사 메신저 카카오톡에 오픈AI의 챗GPT를 도입한다. 대화창 속에서 검색·결제·추천이 한 번에 이뤄지는 ‘인공지능(AI) 메신저 생태계’를 구축해 정체된 플랫폼 성장의 돌파구를 노리는 전략이다.
28일 경기 성남시 판교 카카오 본사에서 열린 ‘프레스 싱크업 데이’에서 유용하 카카오 AI플랫폼 성과리더는 “오늘부터 별도 가입 없이 카카오톡 채팅탭 상단의 ‘챗GPT’ 버튼을 눌러 바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며 “‘챗GPT 포 카카오’ 프로젝트를 통해 누구나 더 쉽게 AI를 접하게 됨에 따라 AI 활용도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카카오는 자사 주요 서비스를 아우르는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예컨대 “5만원대 리조트 찾아줘” “판교 근처 이비인후과 추천해줘” 같은 자연어 명령을 입력하면 AI가 카카오맵·선물하기 등 내부 서비스를 자동 연동해 결과를 보여준다. 초기에는 카카오맵, 예약하기, 선물하기, 멜론 등 4개 서비스가 연결된다.
유 리더는 “이용자는 대화 내용의 저장 여부와 학습 반영을 직접 선택할 수 있어 데이터 주권을 강화했다”며 “카카오의 자체 ‘AI 세이프티’ 기준을 적용해 안전하게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AI 활용 범위가 넓어질수록 이용자 통제권을 확보하는 것이 신뢰의 핵심이라는 게 카카오의 입장이다.
카카오는 그동안 베타서비스하던 자체 AI 모델 ‘카나나’를 적용한 ‘카나나 인 카카오톡’도 공개했다. 강지훈 카카오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카나나는 대화를 기다리는 기존 챗봇과 달리 이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먼저 말을 거는 ‘선제형 AI’”라며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적용해 개인정보를 외부 서버로 보내지 않고도 요약·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의 행보는 AI를 활용해 ‘메신저 중심 생활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메신저 본연의 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친구탭 개편으로 광고성 콘텐츠가 늘어난 데 이어 AI 기능이 상업 서비스와 연동되면서 “카카오톡이 대화 중심 메신저에서 수익형 플랫폼으로 지나치게 기울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5 days ago
2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