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 하세월 … 수도권 공공주택 68% 미착공

7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가 LH 주도의 대규모 공급대책을 발표했지만, 최근 5년간 인허가를 받은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중 7곳은 아직 공사를 시작하지 못한 상황이다.

공공분양주택의 적체 원인은 토지 보상 및 관계기관 협의 지연으로, 현재 미착공 단지의 56%가 이로 인해 늦어지고 있다.

염 의원은 인허가 후 건설물가 상승 등으로 착공이 어려운 사례가 많다며, 주택 공급을 위해 인허가 시점을 더욱 정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5년 간 인허가받은 12만가구
8만 가구가 아직 첫삽도 못떠
토지보상 등 소송·갈등 얽혀
"착공기준으로 공급 관리해야"

사진설명

정부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도의 대규모 공급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최근 5년간 인허가를 받은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10곳 중 7곳은 아직 공사를 시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이상이 토지 보상이나 군 시설 이전 등 관계기관 협의를 진행 중인 상황인데, 신속한 공급을 위해서는 보상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염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LH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세부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금까지 사업 승인을 받은 수도권 공공분양주택 200개 단지(11만9523가구) 가운데 131개 단지(8만1640가구)가 미착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물량으로만 치면 68%가량이 삽을 뜨지 못한 상태다.

부동산업계에서는 인허가 이후 1년 이하 기간에 착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수도권 공공분양주택의 경우 인허가를 받은 지 3~4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착공한 단지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지 수용이 해결되지 않으면서 발생한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공공분양은 토지 수용과 인허가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사를 앞두고 문화재 조사, 주민 민원, 보상 협의 지연이 계속되면서 착공에 돌입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로 수도권 공공분양 미착공 단지 중 관계기관 협의가 끝나지 않거나 토지 보상이 진행 중인 곳은 76곳(4만8037가구)으로 전체 미착공 단지의 절반 이상(56%)을 차지한다.

3기 신도시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인허가를 받은 3기 신도시 공공분양주택 3만1009가구 중 미착공 물량은 3만1009가구인데, 이 중 2만659가구가 토지 보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공공주택 실적 기준을 '착공'이 아닌 '인허가'로 잡으면서 실제 착공과 괴리된 공급물량이 발표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번 9·7 대책을 통해 수도권에 135만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된 물량은 '인허가'가 아닌 '착공' 기준으로, 이미 인허가를 받았지만 미착공된 단지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염 의원은 "인허가 후 건설물가 상승 등으로 착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주택 공급을 적절한 시기에 제대로 해내기 위해서는 인허가 시점을 정밀히 검토해 발표하는 등 책임 있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지혜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