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유화 메시지에…中 ‘125% 대미 보복관세’ 일부 철회

2 weeks ago 6

트럼프 “中과 특별한 협상 가능” 관세 유연성 보이자
中, 미국산 반도체 8종-의료장비 등 기업에 면세 통보
트럼프, 韓-日 요청 수용해 ‘통상-방위비 투트랙’ 시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시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뉴시스
중국이 반도체와 의료 장비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125% 보복 관세를 철회했거나, 철회를 검토 중이라고 CNN, 로이터통신 등이 25일(현지 시간)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 “어떤 관세 협상에서도 군대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방위비 분담을 관세 협상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유화 메시지 이후 중국이 한 발짝 양보한 가운데, 미국도 통상과 안보를 분리해 협상하자는 한국·일본 등의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다.

25일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상무부의 태스크포스(TF)가 관세 면제를 위한 목록을 작성 중이며, 기업들에 필요한 (면세) 품목 제출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가 공식 발표를 내놓지 않는 가운데 이미 일부 중국 기업들은 당국으로부터 면세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CNN과 중국 현지 매체들에 따르면 메모리 칩을 제외한 8종의 미국산 반도체 집적회로 제품에 대해 보복 관세가 철회된 사실을 관련 기업들이 세관 신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알게 됐다. 해당 8종의 품목에 대해선 이미 납부한 관세도 환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의료 장비, 에탄 등 산업용 화학물질, 액화천연가스(LPG), 항공기 임차료 등도 관세 면제가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이들 제품은 기존에 수입하던 미국산을 다른 나라 제품으로 당장 대체하기가 어려운 품목들이다.

앞서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향후 2, 3주 이내에 중국에 대한 관세 수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 중국과도 특별한 협상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답하는 등 유화 메시지를 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조치가 미중 관세 전쟁으로 피해를 입은 중국 기업들을 지원하는 동시에 백악관에 가하는 압박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백악관에서 열린 미·노르웨이 정상회담 기자회견에서 “군대(military)는 우리가 다룰 또 다른 주제이나, 그 어떤 관세 협상에서도 이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8일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한 직후 ‘원스톱 쇼핑’이란 표현을 쓰며 관세와 안보 현안을 묶어서 협상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16일 방미한 아카자와 료세이(赤澤亮正) 일본 경제재생상과 만난 자리에서도 주일미군 주둔 경비 분담액 개선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한국과 일본은 통상 협상에서 관세와 방위비 문제를 분리하는 ‘투 트랙’ 방식을 선호해왔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서 속도를 내기 위해 한국, 일본의 ‘투 트랙’ 요청을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이지윤 기자 asa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