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생산성 OECD 하위권…‘주 4일제’ 벨기에의 절반 수준

1 hour ago 1

사진 뉴시스

사진 뉴시스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주요 선진국 가운데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생산성 향상 없이 근로시간 단축만 추진하면 경제 활력이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발표한 ‘임금과 노동생산성 추이, 그리고 근로시간 단축의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연간 노동생산성은 6만5000달러(약 9000만 원)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22위로 조사됐다. 노동생산성은 국내총생산(GDP)을 전체 취업자 수로 나눈 것이다.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이미 주 4일제를 도입한 벨기에(12만5000달러)나 아이슬란드(14만4000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또 주 4일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프랑스(9만9000달러), 독일(9만90000달러), 영국(10만1000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한국은 2018년부터 노동생산성보다 임금이 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2000~2017년 임금 과 노동생산성의 증가율은 각각 연평균 3.2%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2018~2023년 기간에는 임금이 연평균 4.0% 오르는 동안 노동생산성은 1.7% 상승하는 데 그쳤다.

해당 보고서를 작성한 박정수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주력 제품의 가격경쟁력 약화로 최근 국내 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둔화됐다”며 “반면 임금은 연공서열형 임금 체계와 최저임금 인상, 통상임금 판결 등의 요인으로 계속 상승하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SGI는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선진국 대비 낮고 성장 속도마저 정체된 현실을 고려할 때 근로시간 단축보다 기업의 경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박현익 기자 beepark@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