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APEC]
1척은 작전 투입, 2척은 정비-훈련… 임무지 이동하려면 1척 더 있어야
KF-21 넘는 최대 무기사업 가능성… 범정부차원 사업단 구성 방안 검토
지난달 29일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우리 군의 숙원이던 핵추진 잠수함 확보가 가시화되면서 선체 크기와 건조 수량·비용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상 최대 규모의 무기 도입 사업이 될 핵잠수함의 개발과 건조를 위한 범정부 사업단을 꾸리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 “1척 상시 작전 투입하려면 최소 4척 필요”

하지만 핵잠수함처럼 원해 임무 등 작전 반경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전략무기급 함정은 언제든 임무 지역 이동을 위한 1척이 추가로 필요하다. 1척이 상시 작전에 투입되려면 최소 4척 체제는 갖춰야 한다는 것. 최일 잠수함연구소장(예비역 해군 대령)은 “우리 해군은 평소에도 연안 작전과 원거리 훈련 등 출동 일수가 많은 편”이라며 “핵잠수함을 북핵 억제와 주변국 견제 등 전략적 임무에 제대로 활용하려면 최소 4척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군 관계자는 “디젤엔진과 리튬전지로 움직이는 재래식 잠수함이 승용차라면 핵잠수함은 ‘고성능 스포츠카’”라면서 “기동성과 작전 지속성에서 재래식 잠수함을 압도하는 만큼 전술적 운용과 작전 방식도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수십 년간 핵잠수함을 운용해온 미국과 협조해 작전 교리 수립과 운용 인력 교육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 “적기 개발하려면 범정부 차원서 추진돼야”
핵잠수함 확보는 한국형 전투기 KF-21(보라매) 사업(약 16조5000억 원)을 넘어 역대 최대 규모의 무기 도입 사업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4∼6척의 건조 비용만 12조∼18조 원이 투입되고, 개발 비용까지 포함하면 총 비용이 20조 원을 훌쩍 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

1 day ago
4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