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마진콜에 中 보복성 매도설…美 국채금리 급등

3 weeks ago 6

입력2025.04.09 18:13 수정2025.04.09 18:14 지면A4

증시 급락 때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금리가 9일 급등(국채 가격 하락)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유동성 위기를 맞은 헤지펀드들이 현금 확보에 나선 결과라는 분석이 많지만 일각에선 중국의 미 국채 매도설이 거론된다.

헤지펀드 마진콜에 中 보복성 매도설…美 국채금리 급등

이날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장중 전 거래일보다 0.362%포인트 오른 연 4.516%까지 뛰었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안전자산인 국채에 자금이 몰린 덕에 지난 7일엔 연 3.886%로 내렸는데 이틀 만에 0.6%포인트 뛴 것이다. 이틀 기준 상승폭은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3월 후 최대다.

부진한 미 국채 입찰이 매도세의 발단이었다. 이날 미 재무부는 580억달러(약 86조원) 규모의 3년 만기 국채를 경매에 부쳤다. 발행액 대비 응찰액 비율은 2.47배로 전월 평균 2.7배를 밑돌았다. 자산운용사 얼라이언스번스틴의 매슈 스콧은 “3년물 경매 부진은 외국인 투자자가 미 국채 시장에서 발을 빼고 있다는 소문을 강화할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시장에서는 증시 급락으로 유동성 위기에 빠진 헤지펀드들이 담보로 잡아 놓은 국채를 급매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미국 주요 은행이 헤지펀드에 추가 증거금을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헤지펀드들이 국채 선물과 현물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를 청산하고 있는 것으로 월가는 보고 있다. 2020년 미 국채 투매 당시에도 이 같은 차익거래 청산이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월가에서는 중국 등 외국이 미 국채를 팔아치우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미 국채 금리 폭등 시점이 미국이 중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시기와 맞물리면서다. 중국의 미 국채 보유액은 7608억달러로 일본 다음으로 많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