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정임수]MASGA 동참하는 은퇴 ‘용접 장인’

9 hours ago 2

제2차 세계대전 시작과 함께 미국은 60곳이 넘는 조선소에서 군함과 수송선 수천 척을 찍어내며 조선업 황금기를 열었다. 1950년 흥남 철수 작전 때 피란민 1만여 명의 목숨을 구한 미국 상선 ‘메러디스 빅토리호’도 당시 만들어진 수천 대 화물선 중 하나였다. 바다를 지배한 미국의 힘은 2차대전 승리를 넘어 미국 중심의 세계 자유무역 질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됐다.

▷70여 년이 지난 지금 미국 조선업의 위상은 초라하다는 말로도 부족하다. 중국 국영 조선사(CSSC) 한 곳이 지난해 250척이 넘는 선박을 생산하는 동안 미국은 10여 개 조선소에서 7척을 만드는 데 그쳤다. 해군 함정 수도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 지 오래다. 조선업이 쇠퇴하면서 미 해군은 새 함정을 만드는 것도, 낡은 함정을 유지 보수하는 것도 어려운 처지다. 미국 싱크탱크는 “반세기 만에 미국이 해상에서 패배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이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이 제안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 화답한 배경이다. 작년과 올해 연이어 국내 조선소를 찾은 전현직 미 해군성 장관들은 “한국 기술력에 어안이 벙벙하다” “한국의 자본과 기술을 미국에 유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원더풀’을 연발하고 돌아갔다. 이들은 선박 계약 단계부터 정확한 납기 일정을 제시하고, 실시간 건조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에 놀랐다고 한다. 우리로선 당연한 일이지만, 조선업 생태계 전반이 붕괴된 미국에선 상상하기 힘든 구조다.

▷한화오션이 인수한 필리조선소만 봐도 미국에서 배 만드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알 수 있다. 필리조선소는 지난해 현지 인력 1700명을 고용했는데 숙련공은 70명뿐이다. 인력이 부족하고 생산성도 낮아 선박 건조 속도도 느리다. 2차대전 때만 해도 미국 조선소에서 100만 명 넘게 일했지만 1980년대 이후로 20만 명을 넘긴 적이 없다. 특히 용접·도장·배관 등 핵심 공정에 투입되는 기능 인력과 선박설계 등에 필요한 연구 인력은 거의 없다.

▷1500억 달러가 투입되는 마스가 프로젝트를 위해 국내 조선소에서 은퇴한 숙련 용접공 등 전문가를 미국 조선소에 파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고 한다. 국내 대형 조선사에서 매년 은퇴하는 이들이 1000여 명인데, 이들을 재고용한 뒤 미국으로 파견해 숙련 기술을 전수하겠다는 것이다.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때도 현장 경험이 많은 한국인 퇴직자들이 현지에서 활약한 적이 있다. K조선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가 용접 기술 같은 현장 손기술인데, 미국 조선업 재건에도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적지 않다. 한국 제조업 역사상 전례 없는 해외 진출이 될 마스가의 첫걸음이 시작됐다.

횡설수설 >

구독

이런 구독물도 추천합니다!

  • 기고

  • e글e글

  • 강용수의 철학이 필요할 때

    강용수의 철학이 필요할 때

정임수 논설위원 imso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