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해양수산부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2028년 UN해양총회(UNOC) 유치’를 위한 본격적인 밑작업에 착수한다. 사실상 유치는 확정됐지만, 국제 사회를 설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의제와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
(사진=연합뉴스) |
10일 관가 등에 따르면 해수부는 최근 ‘UN 해양총회 성과창출 전략 기획 연구’에 착수했다. UN 해양총회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UN SDGs) 중 14번인 ‘지속 가능한 해양’ 이행을 위해 3년마다 열리는 해양 분야 최고위급 회의다. 이재명 대통령은 UN 해양총회 유치를 대선 공약에 담아 앞으로 중요성이 더욱 커질 해양 관련 의제를 글로벌 무대에서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해수부는 올해 아워오션 컨퍼런스(OOC),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해양관계장관회의를 부산에서 열며 해양 분야 글로벌 이슈를 선도해왔다. 또 강도형 전 해수부 장관은 지난해 미국 뉴욕에서 열린 UN총회에 참석하고, 우루과이 대통령의 취임식 ‘특사’로 파견돼 현지에서 UN 해양총회 공동 개최국이 될 칠레와 접선해 물밑 외교전도 진행했다. 강 전 장관은 퇴임 전 마지막 임무로 지난 6월 프랑스 니스에서 열린 제3차 UN 해양총회에도 직접 참석했다.
다만 UN 회원국들에 UN 해양총회 유치 국가로서 각인되기 위해서는 설득력을 갖춘 구체적인 의제 제안이 필수다. 해수부에 따르면 연말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80차 UN총회 결의안에서 최종 유치국이라는 결의안이 채택되면, 내년 상반기까지 구체적인 일시와 장소, 대주제와 프로그램 등을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그간 1~3차례 있었던 지난 UN 해양총회의 주요 결과와 행사 구성 등을 분석하고, 다음 UN 해양총회의 전체 개요를 담은 기본 구상과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최근 국제 해양 분야에서 이슈가 되는 ‘지속 가능한 어업’과 ‘해양 보전’, ‘2050년 무탄소 항해’ 등 동향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국제기구와의 협력 방안 등도 검토하기로 했다.
총회 유치가 확정된 이후에는 또한 행사를 어느 곳에서 열어야 할지도 정해야 한다. 보통 국제행사는 항공 접근성을 고려하면 서울이나 인천 등이 가장 편리하다는 평가가 있지만, 2028년이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한 상태인 것을 고려하면 부산 역시 유력한 후보지다. 또 ‘청정 바다’ 등 자연을 갖추고 해녀 문화 등 한국만의 고유한 해양 문화를 보여줄 수 있는 제주 역시 후보지로 거론된다.
해수부는 이전 UN해양총회는 물론, 주요 국제행사에서 개최 도시를 선정했던 방식을 들여다보며 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접근성은 물론 최고위급 행사인 만큼 관련 대규모 인사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숙박 시설과 컨퍼런스 시설, 교통 접근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UN해양총회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공동 개최한다. 선진국인 한국이 본회의를 맡고, 개도국인 칠레는 본회의 1년 전인 오는 2027년 고위급 회의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해수부는 칠레와의 협력도 지속적으로 강화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