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 비자 탄력 운용해달라"…외교부, 美에 비자문제 해법 요구

4 hour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이송 작전이 진행되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한 해법 마련에 착수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국토안보부와 상무부는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 중이며, 한국인 근로자를 위한 비자 쿼터 신설과 관련된 입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주말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방한해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대한 한미 간 논의를 할 예정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訪美 조현 장관, 루비오 만나
단기 상용비자 필요성 설득
백악관, 투자유치 강조하며
"국토안보·상무부 공동대응"

◆ 구금 한국인 이송 작전 ◆
미국 조지아주에서 구금된 한국인 근로자들의 이송 작전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향후 재발 방지 등을 위한 해법 모색에 나섰다.

백악관은 9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사태와 관련해 외국 기업 근로자의 비자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담당 부처들이 공동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조지아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벌어진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미 행정부가 비자 관련 법규 개정 등을 추진하는지 묻는 말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일요일(7일)에 전 세계의 외국 기업들과, 그들이 미국에서 하는 투자에 대해 매우 감사해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며 "그는 이들 기업이 고도로 숙련되고 훈련된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함께 데려오기를 원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대통령은 이들 외국 기업이 미국인 근로자들을 고용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이 외국 근로자들과 미국인 근로자들이 함께 일하며 서로 훈련하고 가르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이를 "대통령이 매우 미묘하면서도 책임 있는 입장을 취한 것"이라고 소개하며 "국토안보부와 상무부가 이 문제에 함께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입국 및 이민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안보부와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를 담당하는 상무부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침에 따라 미국 투자 기업 소속 근로자들의 체류 자격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모색 중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사태 해결을 위해 방미한 조현 외교부 장관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조현 장관은 10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면담할 예정으로, 우리 정부는 대미 투자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국무부에 단기 상용 비자인 'B-1' 비자의 탄력적 운용 필요성을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국무부의 외교업무 매뉴얼에 따르면 B-1 비자 소지자는 현장에서 장비 설치 및 시운전, 현지 직원 대상 교육 등의 활동이 가능하다. 중장기적으로는 한국인 전문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 비자 쿼터인, E-4 비자 신설을 위한 입법과 H-1B의 한국 쿼터(할당) 신규 도입 추진을 강하게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가운데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이번 주말 한국을 방문해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 등 한미 간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랜도 부장관은 오는 13~14일 방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명 행정부 출범 이후 미측 고위 당국자의 방한은 7월 댄 케인 미 합동참모의장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김성훈 기자 / 이재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